이주열 "3% 중반 충분히 성장…긴축 전환은 일러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올해 우리나라 경제가 충분히 3% 중반대 성장을 할 수 있을 것이라 말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, 코로나 재확산과 낮은 백신 접종률은 문제로 지적했고 돈줄을 다시 죌 때는 아니란 생각을 분명히 했습니다.<br /><br />이동훈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해 11월 올해 경제 성장률을 3%로 예상했던 한국은행, 하지만 다섯 달 만에 이주열 총재는 이보다 더 높아질 가능성을 공개적으로 언급했습니다.<br /><br />1분기 실적을 보니 경제 회복세가 예상보다 빠르고 그 흐름도 더 이어질 것으로 본 겁니다.<br /><br /> "3%대 중반은 얼마든지 가능한 숫자다 이렇게 보고 있습니다. 수출과 설비투자 증가세가 당초 전망보다 확대되고 이런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."<br /><br />하지만, 이 같은 전망과 달리,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만장일치로 기준금리를 0.5%에서 동결했습니다.<br /><br />진정되지 않는 코로나 재확산세, 그리고 2%대에 불과한 백신 접종률이 여전히 우려 요인이라, 물가 상승세나 금융 불균형 해소를 위한 통화정책 기조 전환을 말할 때가 아니란 겁니다.<br /><br /> "코로나19의 전개 상황, 백신 접종 등 경제에 영향을 주는 불확실성이 아직은 상당히 높은 상황…회복세가 안착했다고 확신하기는 어려운…정책 기조의 전환을 고려하기는 이르다…"<br /><br />최근 집값 상승이 풍부한 유동성 탓이란 정부의 입장에는 복합적 요소가 함께 작용한 것이라며 선을 그었습니다.<br /><br /> "주택 수급에 대한 우려, 가격에 대한 기대심리가 크게 작용하지 않았나 생각을 하고 있고…"<br /><br />한편, 급등을 거듭하는 가상화폐에 대해 이 총재는 내재가치가 없고 가치산정도 어려워 지급수단으로 쓰기 어렵고 과도한 투자는 금융리스크를 불러올 수 있다며 부정적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동훈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