문대통령-바이든, 내달 하순 美워싱턴서 첫 정상회담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한미 정상이 내달 하순 미국 워싱턴에서 첫 정상회담을 갖습니다.<br /><br />바이든 대통령 취임 4개월여만에 대면 회담이 성사되는 것인데요.<br /><br />워싱턴 연결해서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.<br /><br />이경희 특파원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. 한미 양국은 문재인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5월 하순 미국 워싱턴DC에서 첫 정상회담을 갖는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현재 구체적인 일정을 조율중인데요.<br /><br />문 대통령이 바이든 대통령의 초청으로 워싱턴DC를 방문하는 형식으로 이뤄지는데요.<br /><br />바이든 대통령이 지난 1월 20일 취임한 지 4개월여 만에 성사되는 두 정상의 첫 대면 회담입니다.<br /><br /> "바이든 대통령은 5월 하순에 있을 문재인 대통령과의 만남을 고대하고 있습니다. 미 국무, 국방 장관의 최근 방한과 한미일 국가안보보좌관 회담에 이은 이번 회담은 굳건한 한미동맹과 양국 국민 간 오랜 유대관계와 우의를 강조할 것입니다."<br /><br />첫 회담인 만큼 한미동맹의 지속적인 발전 방안과 함께 한반도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정착을 위한 공조방안, 코로나19 대응, 기후변화 등 현안 전반에 대한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보이는데요.<br /><br />특히 막바지 검토 단계에 접어든 것으로 알려진 바이든 정부의 포괄적 대북정책에 대한 의견 교환이 비중있게 이뤄질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 백신 수급의 불안정성이 커지고 있는 만큼 문대통령은 코로나 백신 생산을 주도하는 미국을 상대로 백신 확보 노력에도 나설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바이든 대통령은 미국이 외교 현안에서 최우선순위로 꼽고 있는 대중국 견제를 위한 한미, 한미일간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할 것으로 예상되는데요.<br /><br />백악관 대변인은 내일로 예정된 일본 총리와의 정상회담에서도 대중국 대응방안과 북한 비핵화 문제가 논의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번에는 미 의회 내 인권기구가 주최한 대북전단금지법 청문회 관련 소식으로 넘어가보겠습니다.<br /><br />한국의 법안을 주제로 삼았다는 점에서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나오는데요.<br /><br />어떤 메시지가 나왔습니까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미국 의회 내 초당적 기구인 톰 랜토스 인권위원회가 화상으로 청문회를 열었는데요.<br /><br />한국이 대북전단법을 통과시킨 후 일각에서 표현의 자유 침해라는 비판론이 제기되자 인권위 공동 위원장인 보수 성향 크리스 스미스 공화당 하원 의원이 주도해 성사된 청문회입니다.<br /><br />청문회는 대북전단법이 북한으로 정보 유입을 저해하고 표현의 자유를 제한한다는 미국 조야의 시각을 반영하듯 비판론이 우세했는데요.<br /><br />인권위 공동 위원장인 제임스 맥거번 민주당 하원 의원은 표현의 자유 침해라는 인권단체 주장을 소개하고 한국 정부의 대응 노력을 평가하면서도 자신은 개인적으로 국회가 법을 수정해주길 희망한다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한국계인 영 김 공화당 하원 의원도 "북한으로 흘러가는 많은 풍선은 외부세계 정보의 유일한 원천"이라며 부정적인 시각을 드러냈는데요.<br /><br />반면 남북 대치 중인 한반도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과 대북 전단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나왔습니다.<br /><br />제시카 리 퀸시연구소 선임연구원은 미국의 관여는 한반도 평화를 확보하는 측면에서 이뤄져야 하고 불필요하게 정치화해선 안 된다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또 대북전단 무용론을 주장하는 전수미 변호사는 탈북자들이 전단 때문에 북한에 남은 가족의 위험을 걱정한다며 미국이 다양한 탈북자 집단과의 소통하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오늘 행사를 주최한 톰 랜토스 인권위원회는 인권에 관심이 있는 의원들이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는 의회 내 기구지만, 법이나 결의안을 자체 처리할 권한이 있는 상임위는 아닙니다.<br /><br />이에 따라 청문회라고 명명했지만 입법을 목표로 한 활동이라기보다는 공청회 성격이 더 강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워싱턴에서 전해드렸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