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년 만에 열린 5·18 전야제…"미얀마 지지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제41주년 5·18 민주화운동 전야제가 어제(17일) 광주 5·18 민주광장에서 열렸습니다.<br /><br />올해 전야제는 미얀마 시민들이 함께했습니다.<br /><br />기념식은 오늘(18일) 5·18묘지에서 거행됩니다.<br /><br />김경인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5·18 전야제 무대에 오른 미얀마 유학생들.<br /><br />1980년 5월 광주와 2021년 미얀마의 참상을 연극으로 풀어냅니다.<br /><br />주제는 민주주의를 향한 열망과 의지입니다.<br /><br />올해 5·18 전야제에서 전한 첫 번째 메시지는 군부의 쿠데타에 맞서 싸우고 있는 미얀마 국민들을 향한 연대와 지지였습니다.<br /><br /> "한국 시민들이 저희 나라 시민들이랑 함께 있어서 너무 감사하고 힘이 너무 됩니다."<br /><br /> "과거로 돌아가고 싶지 않습니다. 군사 독재가 끝날 때까지, 승리할 때까지는 저희가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싸울 것입니다."<br /><br />전야제는 코로나19 때문에 2년 만에 열렸습니다.<br /><br />참석자는 제한됐지만, 오월을 기억하려는 시민들의 발길이 계속됐습니다.<br /><br />국립5·18민주묘지에선 추모제가 열렸습니다.<br /><br />이례적으로 국민의힘 의원들이 초대 받아 참석했습니다.<br /><br />41년의 세월이 흘렀지만, 유가족들에게 5월은 여전히 슬픔이고, 그리움입니다.<br /><br /> "80년 5월을 기억하고 추모하는 자리를 넘어서 새로운 미래로 나아가는 걸음으로 발전해야 합니다."<br /><br />'우리들의 오월'이라는 주제로 열리는 기념식은 5·18 유공자와 각계 대표 등 99명이 참석한 가운데 5·18 묘지에서 거행됩니다.<br /><br />12살에 희생된 고 전재수 군과 5·18 투사회보의 글씨를 쓴 고 박용준 열사의 사연이 재조명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경인입니다. (kikim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