산업 현장에서 두루 쓰이는 철강 가격이 치솟으면서 조선과 건설 등 제조 업계에 비상이 걸렸습니다. <br /> <br />반면, 철강 업계는 서서히 코로나19 불황에서 벗어나고 있어 산업별로 희비가 엇갈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조용성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이달 초 올라온 청와대 국민청원입니다. <br /> <br />철강 가격이 크게 올라 제조업 분야 일을 계속할지 고민된다고 호소합니다. <br /> <br />실제로 철강 가격은 수요가 크게 늘면서 급등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4월, 1톤당 24만 원이던 고철과 생철 가격은 1년 만에 80% 넘게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경기 회복세 속에 세계 철강 수요가 늘었지만, 주요 생산국인 중국이 환경정책 강화로 공급을 늘리지 않는 게 주된 요인으로 꼽힙니다. <br /> <br />게다가 중국이 철광석 60%를 수입하는 호주와 갈등을 겪으면서 사재기 심리까지 가세한 것으로 분석됩니다. <br /> <br />조선 업계는 지난 1분기에 컨테이너선과 LPG선의 전 세계 주문량 가운데 절반 넘게 확보했지만, 치솟은 철강 가격을 선박값에 바로 반영할 수 없어 울상입니다. <br /> <br />건설업계는 철근 품귀현상을 겪으며 비상이 걸렸고, 한 대에 철강 1톤이 들어가는 완성차 업계도 가격 동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철강이 대기업 위주로 우선 공급돼 중소 제조업체의 어려움은 더 큽니다. <br /> <br />반면 철강업계는 가격 상승을 불황 탈출의 계기로 삼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포스코와 현대제철의 매출액은 코로나 영향이 본격화되기 전인 지난해 1분기보다 각각 10.5%, 5.6%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[이재윤 / 산업연구원 연구위원 : 철강산업에서는 그런 (가격 상승)이 중요한,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이는데요, 반면에 철강제품가격이 최종 제품가격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조선산업은 철강 가격 상승에 따른 약간의 부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.] <br /> <br />중국이 다음 달부터 철강생산과 수출량을 더 줄이겠다고 예고해 가격 상승세는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YTN 조용성[choys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10520003024981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