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文대통령, 3박5일 방미 뒤 귀국길...한미동맹 강화 성과·대중 외교는 과제 / YTN

2021-05-23 8 Dailymotion

문재인 대통령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첫 대면 정상회담에서 한미 동맹 강화와 대북 정책 공조에서 성과를 거뒀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한미가 대북과 대중 정책에 서로 힘을 실어주며 외교적 균형점을 맞춘 것으로 평가되지만, 우리 정부의 대중 외교는 과제로 남았습니다. <br /> <br />문대통령의 방미 성과와 과제,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. 이승윤 기자! <br /> <br />이번 한미정상회담의 성과를 정리해볼까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취임 이후 이뤄진 첫 대면 정상회담에서 한미 정상은 마스크 없이 171분간 정상회담을 갖고 친밀감을 과시했습니다. <br /> <br />두 정상이 북핵을 비롯한 한반도 현안 공조는 물론, 반도체, 배터리, 6G 등 신산업 분야와 원전, 기후변화 등 다방면에서의 협력을 통해 한미 동맹을 강화하는 내용을 담은 공동 성명을 채택한 것은 성과로 꼽힙니다. <br /> <br />특히 2018년 판문점 선언과 싱가포르 공동 성명에 대한 존중을 공동성명에 명시하며,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 외교 성과를 이어가기로 한 점은 북한의 입장을 고려한 것으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앞서 문 대통령은 "바이든 대통령이 남북 대화와 협력에 대한 지지도 표명했다"며 "대화·외교를 통한 대북 접근법을 모색할 것이고 북한의 긍정적인 호응을 기대한다"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바이든 대통령도 "양국은 한반도 비핵화라는 최종 목표를 향해 진전하면서 긴장을 줄이기 위한 실용적인 조치를 취하기 위해 북한과 외교적으로 관여할 의지를 공유한다"고 화답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남북 관계 개선 속도가 북미 비핵화 협상을 앞지르는 것을 경계했던 트럼프 행정부와 달리, 바이든 행정부가 남북 관계 진전으로 북미 대화를 촉진할 여지를 어느 정도 인정한 것으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북핵 문제를 총괄하는 미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 대표로, 북측도 익숙한 성 김 동아태 차관보 대행을 임명한 것도 북한에는 긍정적인 대화 메시지로 해석됩니다. <br /> <br />다만 바이든 대통령이 김정은 국무위원장과의 '톱다운' 방식의 대화에 선을 그었고, 공동성명에 북한 인권 문제도 거론되면서 대화가 조기에 성사될지는 불투명하다는 관측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이처럼 미국이 한국의 대북 정책에 힘을 실어준 가운데, 한국이 중국이 민감해 하는 '쿼드'와 타이완 해협 문제 등에서 미국과 어느 정도 보조를 맞추는 모습은 주목됩니다. <br /> <br />공동 성명에서도 미국이 중국 의존도를 줄이고 기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10523140206097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