수치, 미얀마 쿠데타 이후 첫 등장…군부 정면 비판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아웅산 수치 미얀마 국가고문이 외부에 모습을 드러냈습니다.<br /><br />지난 2월 군부 쿠데타 이후 가택연금된 지 약 넉달만인데요.<br /><br />등장 일성은 군부에 대한 비판이었습니다.<br /><br />김효섭 PD입니다.<br /><br />[리포터]<br /><br />아웅산 수치 미얀마 국가고문이 수도 네피도의 특별법정에 출석했습니다.<br /><br />지난 2월 쿠데타를 일으킨 군부에 의해 집에 구금된 지 113일만에 첫 외부 등장입니다.<br /><br />수치 고문에게 적용된 혐의는 지금까지 7가지.<br /><br />미얀마 군부는 지난 2월 불법 수입한 무전기를 소지 및 사용한 혐의를 시작으로 지난해 11월 총선과정에서 코로나 예방수칙 위반 혐의 그리고 최근에는 뇌물수수죄와 공무상비밀엄수법 위반 혐의로 기소했습니다.<br /><br />그동안 화상으로 출석했던 것과 달리 법정에 직접 모습을 드러낸 수치 고문은 혐의를 부인하며 군부를 비판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면서 군사정권 연방선관위가 지난해 총선을 부정선거라고 주장하며 정당 강제 해산 입장을 내놓은 것에 대해서도 반박했습니다.<br /><br /> "수치는 민주주의 민족동맹(NLD)이 국민을 위해 창당됐기 때문에 국민이 있는 한 존재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."<br /><br />이런 가운데 미얀마 상황은 악화일로를 걷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인권단체 정치범 지원협회에 따르면 군경에 희생된 누적 사망자가 800명을 넘어섰고, 연일 충돌이 격화하는 실정입니다.<br /><br />군부의 공세에 비폭력 시위 대신 무장투쟁을 택한 시민방위군은 경찰서를 태우고 군경 수십명을 사살하며 맞서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런 가운데 미얀마 군부는 폭력 중단이라는 아세안 합의 준수 대신 쿠데타의 정당성을 강조하는데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우리가 이루고 싶은 것은 다당제 민주주의와 연합에 기반을 둔 연방국가입니다. 상황이 허락한다면 1년 안에 이뤄지길 바라고, 그렇지 않다면 6개월 연장될 것입니다."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효섭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