특수본 3개월…고위직 투기의혹 수사 안갯속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오는 10일이면 부동산 투기 관련 정부 특별수사본부가 꾸려진 지 3개월입니다.<br /><br />일부 불법행위자들을 특정해 구속하는 성과를 거뒀지만 유독 고위직 투기 의혹에 대한 수사는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김종성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신도시 개발사업과 관련해 부동산업자에게 도움을 주고 이득을 챙겼다는 혐의로 구속된 전직 LH 부사장 A씨.<br /><br /> "(내부정보 이용해서 투기한 혐의 인정하십니까?)…"<br /><br />특수본 수사 진행 후 구속된 LH 관계자 중 최고위직 인물입니다.<br /><br />그러나 A씨 외에 특수본이 수사중인 다른 고위 공직자 수사는 좀처럼 속도가 나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일례로 차관급인 전직 행복청장 B씨에 대해 경찰이 부패방지법 위반 혐의로 영장을 신청했지만 검찰은 보완수사를 요청했습니다.<br /><br />B씨가 부동산을 산 시점이 퇴직 이후인 만큼 청장으로 일하던 시절 얻은 정보를 이용했다고 보기 어렵다는 것입니다.<br /><br />특수본의 수사대상으로 분류된 국회의원 16명 중 투기 혐의를 받고 있는 사람은 13명.<br /><br />이들에 대한 수사 역시 현재는 별 소득이 없는 상황입니다.<br /><br />현역의원 중 처음 용인시장 시절 비위 의혹과 관련해 정찬민 국민의힘 의원에 대해 영장을 신청했지만, 검찰의 요청으로 보완수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일각에선 수사 미흡 지적도 나오는데, 경찰은 여전히 자신감을 내비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데이터 분석 등 과학적이고 전문적인 수사를 통해 범죄 혐의를 객관적으로 입증…투기비리·기획부동산에 대해서는 범죄수익을 끝까지 추적하여 몰수·추징 보전…"<br /><br />시간에 쫓기지 않고 꼼꼼한 수사를 통해 결과로 보여주겠다는 뜻인데, 국민들이 공감할만한 성적표를 받을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립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종성입니다. (goldbell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