주요 7개국, G7이 글로벌 최저 법인세율을 도입하기로 한 것은 다국적 기업들의 '세금 피하기'를 막아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됐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이번 조세 개편이 현실화된다면 다국적 기업들이 추가로 내야 할 법인세가 연간 90조 원에 이를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<br /> <br />박경석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다국적 기업들이 조세회피처 등을 통해 합법적으로 피해왔던 세금 규모는 연간 5~6천억 달러, 우리 돈 660조 원 수준으로 분석됩니다. <br /> <br />글로벌 최저 법인세가 도입되면 기업들이 추가로 내야 할 법인세가 연간 500억 달러에서 최대 8백억 달러, 우리 돈 90조 원에 이를 것이란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리시 수낙 / 영국 재무장관 : 모든 유형의 기업에 공평한 경쟁의 장을 마련하고 조세 피난처를 운영하는 사람들이든 디지털 회사이든 공평한 경쟁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 공평성의 원칙을 글로벌 기업에 주입할 것입니다. 세금 시스템, 그게 상금입니다.] <br /> <br />대상 기업 요건은 아직 구체적으로 나오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이익률이 최소 10% 이상인 기업이라는 기준에 따라 일단 우리나라 제조업체에 미치는 충격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<br /> <br />막대한 이익을 내고 있는 미국의 거대 IT 기업들은 당장 영향을 받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페이스북과 구글 아마존 등은 국제 조세 개혁 절차가 성공하기를 바란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법인세 개편 논의를 주도한 주요국들은 코로나19 사태에 대응하느라 비어가는 나라 곳간을 채우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아일랜드 등 낮은 법인세율로 글로벌 기업 법인을 유치해온 국가들은 크게 반발하는 분위기입니다. <br /> <br />이번 합의는 올 가을 경제협력개발기구, OECD 회의에서 세부 기준이 최종 결정되지만, 나라별 세제 개편 등을 고려하면 실제 도입까지는 앞으로 2~3년 이상 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YTN 박경석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10606082025259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