美, 공급망 강화 전략 발표…"한국 등 동맹과 협력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100일간의 검토 끝에 전략물자의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를 위한 청사진을 발표했습니다.<br /><br />자국 내 생산을 늘리는 동시에 한국을 비롯한 동맹과의 협력을 확대하는 데 초점을 맞췄는데요.<br /><br />워싱턴 연결해 내용 들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이경희 특파원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. 지난 2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반도체와 대용량 배터리, 희토류 등 필수광물, 제약까지 4개 분야에 대해 안정적인 공급망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보고하라고 지시했습니다.<br /><br />중국 의존도가 높은 품목들이 대거 포함돼 사실상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됐는데요.<br /><br />그로부터 100일 여의 검토를 거쳐 백악관이 공급망 강화 방안을 담은 보고서를 내놨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의 자금력과 제도적 인센티브를 활용해 자국 내 생산을 늘리고 동맹과 협력을 확대해, 미국의 경쟁력과 공급망을 회복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는데요.<br /><br />배터리 분야의 경우 자국 내 공급망 개발을 위한 10년짜리 계획을 수립하는 한편 이달 말 부문별 대표가 참석하는 '라운드 테이블'도 열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중국이 독점하다시피 하고 있는 희토류 등 필수광물은 국제 투자 프로젝트를 확대해 자국 생산 용량을 늘리고 반도체는 제조사부터 최종 사용자까지 정보 공유를 촉진하는 등 동맹, 파트너와 협력을 강화한다는 방침입니다.<br /><br />여기에 백악관은 외국의 불공정 무역관행에 대응하기 위해 무역대표부 주도로 '공급망 무역 기동타격대'를 꾸릴 것이라고 밝혔는데요.<br /><br />중국을 염두에 둔 조치로 풀이됩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동맹과의 협력 강화에도 무게를 실으면서 한국의 역할이 더 커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데요.<br /><br />바이든 대통령이 직접 글로벌 포럼을 소집할 방침이라고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. 미국은 자국의 경쟁력 강화와 함께 외교적 접근법을 강조하며 동맹.파트너 국가와 협력에도 무게를 실었는데요.<br /><br />한국의 경우 반도체와 배터리에서 세계 수준의 기술 경쟁력을 갖췄고 미국 내 투자도 상당한 만큼 역할이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실제 오늘 발표된 보고서에 한국이 74회, 대만 84회, 일본 85회 등 미국의 핵심 동맹국 이름이 수십 차례 등장하기도 했는데요.<br /><br />특히 반도체 분야에서 상호 보완적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쿼드와 더불어 한국과의 양자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한국을 콕 집어 거론했습니다.<br /><br /> "우리는 이미 인텔, 삼성으로부터 미국 내 생산 용량을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들었습니다. 그것은 미국내 생산을 확장하는 것 뿐만 아니라 동맹국 및 파트너들과 협력을 강화하는 것입니다."<br /><br />바이든 대통령은 핵심 동맹과 파트너 국가의 정부 당국자, 민간이 함께 참여하는 '공급망 회복 글로벌 포럼'을 소집할 방침으로, 대통령이 직접 나서 총력전을 펴나가겠단 구상입니다.<br /><br />중국 견제가 주목적인만큼 오늘 보고서에는 중국이 400번 넘게 언급됐는데요.<br /><br />다만 즉각적인 타격을 주는 내용은 포함되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중국과 직접 충돌하기 보다는 경쟁을 통해 기술력과 영향력으로 우위에 서겠다는 바이든 행정부의 기조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됩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워싱턴에서 전해드렸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