美, 공급망 강화 전략 발표…"한국 등 동맹과 협력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100일간의 검토 끝에 핵심 전략물자의 공급망 확보를 위한 청사진을 발표했습니다.<br /><br />자국 내 생산을 늘리는 동시에 한국을 비롯한 동맹과의 협력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췄는데요.<br /><br />워싱턴 이경희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 2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반도체와 대용량 배터리, 필수광물, 제약 등 4개 분야에 대해 안정적인 공급망을 확보할 방안을 마련하라고 지시했습니다.<br /><br />중국 의존도가 높은 품목들이 대거 포함돼 사실상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됐습니다.<br /><br /> "미국인들은 자동차든 처방 약이든 식료품점의 음식이든, 그들이 의지하는 상품과 서비스에서 결코 부족함을 겪지 않아야 합니다."<br /><br />그로부터 100일 간의 검토를 거쳐 백악관이 공급망 강화 방안을 담은 보고서를 내놨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의 자금력과 제도적 인센티브를 활용해 자국 내 생산을 늘리겠다는 구상입니다.<br /><br />배터리 분야의 경우 자국 내 공급망 개발을 위한 10년짜리 계획을 수립하기로 했고 중국이 독점하다시피 하고 있는 희토류 등 필수광물은 국제 투자 프로젝트를 확대해 자국 생산 용량을 늘릴 방침입니다.<br /><br />반도체는 제조사부터 최종 사용자까지 정보 공유를 촉진하는 등 동맹, 파트너와 협력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은 다른 나라와의 외교적 협력을 통한 경쟁력 강화에도 무게를 실었습니다.<br /><br />실제 보고서에는 한국을 비롯한 미국의 핵심 동맹국 이름이 수십 차례 등장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한국 기업들이 반도체 분야에서 미국에 170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한 사실을 콕 집어 언급하며 쿼드와 더불어 한국과의 양자 협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 "우리는 이미 인텔, 삼성으로부터 미국 내 생산 용량을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확인했습니다. 그것은 미국 내 생산을 확대하는 것뿐만 아니라 동맹국 및 파트너들과 협력을 강화하는 것입니다."<br /><br />바이든 대통령은 핵심 동맹과 파트너 국가 정부 당국자, 민간이 함께 참여하는 '공급망 회복 글로벌 포럼'을 소집할 방침으로, 직접 나서 총력전을 펴겠단 구상입니다.<br /><br />미국은 무역대표부 주도로 기동타격대를 꾸려 외국의 불공정 무역관행에도 적극 대응하기로 했는데 사실상 중국이 집중 타깃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연합뉴스TV 이경희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