금리 1% 포인트 인상에 이자부담 11.8조 원 ↑ <br />가계부채 1,765조 원 달해 금리 인상 필요성<br /><br /> <br />한국은행의 연내 기준금리 인상이 가시화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금리가 1% 포인트 인상될 경우 이자 부담이 11조8천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 서민들은 대출 관리에 적극 나설 필요가 높아졌습니다. <br /> <br />박병한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한국은행 창립 71주년 기념사에서 연내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보다 적극적으로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[이주열 / 한국은행 총재 : 우리 경제가 견실한 회복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면 현재의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향후 적절한 시점부터 질서있게 정상화해 나가야 하겠습니다.] <br /> <br />이보다 앞서 이 총재는 지난달 27일 금리정책 정상화를 서두르지는 않겠지만 실기해서도 안된다고 밝혀 연내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처음 시사했습니다. <br /> <br />박종석 한은 부총재보도 기준금리가 0.5%로 낮은 만큼 물가 상황을 봐서 한두 번 올리게 되어도 긴축이 아닐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해 금리 인상에 대한 공감대가 한은에 확산되고 있음을 시사했습니다. <br /> <br />금리를 1% 포인트 인상하게 되면 이자 부담이 11조8천억 원 늘어나는 것으로 추정돼 아직도 코로나19 후유증에서 완전히 회복되지 못한 서민들에게는 큰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초 코로나19 사태가 발생하자 한국은행은 지난해 3월 기준금리를 1.25%에서 0.75%로 내렸고 다시 지난해 5월 사상 최저인 0.5%로 인하해 이후 이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최근 시중에 너무 많은 돈이 풀리면서 1분기 말 가계의 포괄적인 부채가 1,765조 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돼 한은이 기준금리를 올려야 한다는 전망이 확산돼 왔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부터 아파트값 폭등과 주가 급상승으로 가계 대출이 대폭 늘어난 만큼 한은의 금리 인상 움직임에 대비해 가계는 적극적인 대책 마련을 서둘러야 할 시점입니다. <br /> <br />YTN 박병한 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10611172249247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