산학연 전문가 10명으로 구성…두 달간 운영 <br />지자체 허가·감리 지정에도…"재발방지책 논의" <br />"해체 과정에서 구조물 상태 바뀌는데 대비 부족"<br /><br /> <br />정부가 광주 건물 붕괴 사고의 원인을 규명하고 재발을 막기 위한 조사위원회 첫 회의를 여는 등 본격적인 조사에 착수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일단 철거업체가 제출한 해체계획서상에는 큰 문제는 없는 것으로 보고, 실제 해체 과정이 제대로 이뤄졌는지부터 들여다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신윤정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국토교통부가 광주 건축물 붕괴 사고를 유발한 원인을 포괄적으로 조사하기 위해 중앙건축물 사고조사위원회를 구성했습니다. <br /> <br />건축물 철거공사 허가부터 현장시공 과정까지 전반적인 과정을 모두 들여다보게 됩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5월 건축물 관리법이 시행된 뒤 중앙건축물 사고조사위 구성은 이번이 처음입니다. <br /> <br />[노형욱 / 국토교통부 장관 (지난 10일) : 이번 사고가 왜 일어났는지에 대한 원인 규명이 먼저일 것 같습니다.] <br /> <br />조사위원회는 군산대 이영욱 교수를 위원장으로 산학연 전문가 등 민간위원 10명으로 꾸려져 두 달간 운영됩니다. <br /> <br />위원회는 구성 첫날, 국토안전관리원 호남지사에서 첫 회의를 하고 사고조사 방안을 논의했습니다. <br /> <br />먼저 시공과 건축구조 등으로 업무를 나누고, 조사에 필요한 서류 등도 요청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해체 작업 과정을 담은 동영상을 확보하고, 붕괴 순간 시뮬레이션도 진행하며, 현장 관련자들을 불러 청문도 진행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앞서 지난해 건축물 관리법을 제정하면서 지자체에 안전계획이 포함된 해체계획서를 제출해 허가를 받고, 지자체는 감리자를 지정하도록 했습니다. <br /> <br />국토부 관계자는 제도상의 문제인지, 운영상의 문제인지를 따져 재발 방지 대책도 내놓을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 아직 이르지만, 해체계획서상으로는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며, 계획서와 실제 해체 과정이 다른 순서로 되지 않았는지도 확인할 계획이라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도 해체 공사는 시간이 지나면서 구조물의 상태가 계속 변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비가 필수인데 부족한 것 같다고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[홍성걸 / 서울대 건축학과 교수 : 해체 공사는 시간별로 구조물 상태가 계속 변합니다. 이에 대한 각별한 안전 조치가 필수적입니다. 부분적으로 남아있는 구조물의 안전 조치가 미흡했다고 평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10611225713208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