주요 7개국 G7 정상들이 중국의 거대 경제권 구상인 '일대일로'에 대응해 새로운 글로벌 인프라 파트너십 구축에 합의했다고 미 백악관이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미·중 간 패권 경쟁이 거세지는 가운데 인프라 투자와 경제 영토 확장을 둘러싼 서방 진영과 중국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동헌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영국에서 이틀째 진행되고 있는 G7 정상회의에서 중국과의 전략적 경쟁 방안이 논의됐으며, 글로벌 인프라 파트너십 출범에 합의했다고 미 백악관이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'더 나은 세계 재건'이라 이름 붙여진 이 구상은 중국의 '일대일로'에 대응해 중소득 또는 저소득국가의 인프라 개발 요구에 부응하겠다는 것입니다. <br /> <br />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013년부터 추진해 온 '일대일로'는 중국과 중앙아시아, 유럽을 연결하는 수조 달러 규모의 인프라 투자가 주된 내용입니다. <br /> <br />중국은 이를 통해 전 세계 100여 개국과 협력 체계를 구축했고 G7 가운데 이탈리아가 참여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서방 세계는 '일대일로'가 인프라 투자와 대출을 고리로 아시아와 아프리카 개도국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고 지원 확보와 경제 영토 확장을 노린 중국의 전략으로 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대응해 G7을 비롯한 주요 민주국가들 주도로 민간 분야와 함께 40조 달러에 달하는 개도국의 인프라 요구에 대한 투자를 촉진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중국의 대출이 불투명하고 강압적인 방식으로 운영되는 것과 달리 가치 지향적이고 높은 기준의 투명한 방식으로 진행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백악관은 관련국들과 더욱 강력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형성하고 조율하기 위해 태스크포스를 구성하겠다는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중국의 강한 반발이 예상되는 가운데 얼마나 효과적인 반중 단일대오를 형성할 수 있을지는 미지숩니다. <br /> <br />바이든 대통령은 G7 공동 성명에 신장 지역 등에서 이뤄지는 중국의 강제 노동을 비판하는 내용을 담자고 촉구하고 있지만 일부 정상들이 중국의 반발을 우려해 주저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동헌[dhlee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10613224550935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