넉 달간 800명 숨진 뒤에야…유엔, 미얀마 제재 결의안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유엔이 결의안을 채택해 미얀마 군부 쿠데타를 규탄하고 미얀마로의 무기 유입 차단을 촉구했습니다.<br /><br />결의안이 법적 구속력은 없지만, 정치적 무게를 지니기 때문에 의미가 있다는 평가 속에, 쿠데타 발생 넉 달이나 지난 시점에서 너무 늦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큽니다.<br /><br />김지수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미얀마 사태에 소극적이라는 비판을 받아온 유엔이 군부 쿠데타를 규탄하고 제재를 촉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했습니다.<br /><br />지난 2월 1일 미얀마에서 쿠데타가 일어난 지 넉 달여 만입니다.<br /><br />유엔총회는 찬성 119표, 반대 1표, 기권 36표로, 미얀마 쿠데타를 규탄하는 내용 등을 담은 결의안을 가결했습니다.<br /><br />벨라루스만 반대표를 던졌고, 중국, 러시아, 인도 등은 기권했습니다.<br /><br />결의안은 미얀마로의 무기 유입 차단을 촉구하는 내용이 담겼으며, 아웅산 수치 국가고문을 비롯해 억류된 정치 지도자들의 석방, 군부의 시위대를 겨냥한 폭력 중단 요구도 포함됐습니다.<br /><br />유엔총회 결의안은 법적 구속력을 지닌 건 아니지만, 회원국들 의견을 대표하는 만큼 정치적 무게를 감안하면 의미가 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.<br /><br />결의안 표결에 앞서 연임을 확정한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"군부 쿠데타가 일상적인 일이 되는 세상에서 살아갈 수는 없다"며 "결코 받아들일 수 없는 일"이라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.<br /><br />민주 정부에서 임명된 초 모 툰 주유엔 미얀마 대사도 찬성표를 던졌는데, 결의안 채택이 너무 오래 걸린 데다 내용도 약해 실망스럽다고 일침을 가했습니다.<br /><br />이미 미얀마에서는 군부의 유혈진압으로 쿠데타에 저항하는 시민 최소 860명이 목숨을 잃은 상황.<br /><br />이번 결의안을 두고 미얀마가 속한 동남아시아국가연합 '아세안'은 브루나이, 태국, 캄보디아, 라오스가 기권하는 등 분열된 양상을 보였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김지수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