유엔 총회가 미얀마의 군부 쿠데타를 규탄하고 미얀마로의 무기 수출 금지를 촉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했습니다. <br /> <br />쿠데타가 일어난 지 넉 달 만입니다. <br /> <br />너무 늦었다는 지적과 함께 미얀마 사태를 해결하는 데 어느 정도 효과가 있을지도 미지수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김형근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유엔 총회가 찬성 119표로 미얀마 쿠데타를 규탄하는 내용을 담은 결의안을 가결했습니다. <br /> <br />벨라루스만 유일하게 반대표를 던졌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과 러시아, 인도 등 36개 나라는 기권했습니다. <br /> <br />결의안은 회원국에 미얀마로 무기가 유입되는 걸 차단할 것을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억류된 정치인들을 석방하고 시위대에 대한 폭력과 유혈진압을 끝낼 것도 촉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[볼칸 보즈키르 / 유엔 총회 의장 : 잔혹성과 유혈사태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체제는 살아남지 못할 것입니다. 군부가 지금이라도 부정적인 행태를 중지하고 자제력을 발휘하며 자국민의 뜻을 존중해야 합니다.] <br /> <br />외신들은 이번 결의안이 나름대로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정치적 무게를 지닌 데다 군부 쿠데타에 대한 국제사회의 비판적 시각을 반영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법적 구속력이 없다는 점에서 한계 또한 명확합니다. <br /> <br />국제사회가 너무 늦게 움직였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만큼 미얀마의 상황이 좋지 않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쿠데타 후 군부의 폭력과 유혈 진압으로 숨진 미얀마 주민은 860명이 넘습니다. <br /> <br />미얀마군와 반군 사이의 교전으로 인한 희생자도 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혼란이 계속되면서 주민들의 삶도 더욱 궁핍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크리스틴 슈래너 버기너 / 유엔 미얀마 특사 : 이런 상황이 계속된다면 내년에 인구의 절반 정도가 빈곤선 아래에서 살 것으로 예상됩니다.] <br /> <br />여기에다 코로나19까지 확산하면서 미얀마 주민들을 더욱 고통 속으로 몰아넣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형근[hkkim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10619224821686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