백신 접종 속도전에 확산세 '주춤'…개편안 배경은?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코로나19 백신 접종에 속도가 붙으면서 확산세도 다소 누그러진 모습입니다.<br /><br />그런데 지금의 5단계 거리두기 체계는 지난해 2차 대유행 수준에 맞춰져 있어 현재를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는데요.<br /><br />정부가 거리두기 체계를 바꾸기로 한 배경은 무엇일지, 나경렬 기자가 설명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코로나19 백신 1차 접종을 마친 사람이 1,500만명을 넘어섰습니다.<br /><br />전체 인구 대비 접종률은 29.2%입니다.<br /><br />당초 방역당국의 상반기 목표는 1,300만명 접종, 이달이 끝나기도 전에 이 기준을 훌쩍 넘겼습니다.<br /><br />'백신 효과'로 확산세도 약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최근 한주간 국내에서 발생한 환자 수는 444명 수준, 2주 전부터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백신이 없던 지난해와 비교하면, 코로나19 위험성이 상대적으로 약해진 건데, 작년 상황을 기준으로 마련된 사회적 거리두기 체계는 그대로였습니다.<br /><br />대규모 집단감염보다 개인 간 접촉으로 인한 감염이 많다는 이번 유행의 특성을 반영하지도 못합니다.<br /><br />영업 제한을 중심으로 하다보니 서민 경제의 부담도 만만치 않았습니다.<br /><br /> "자영업, 소상공인 등에 대한 규제는 최소화하되 사적모임 제한 등 개인 활동 규제는 유지합니다. 현재 유행특성이 소규모 접촉에 의한 감염이 우세한 점을 반영…"<br /><br />정부가 사적 모임 인원과 영업 제한을 완화하는 내용의 거리두기안을 발표한 배경입니다.<br /><br />새 기준을 적용하면 수도권은 2단계, 비수도권은 1단계가 적용됩니다.<br /><br />1단계에선 모임 인원과 영업 시간 제한이 사라지고 2단계에선 유흥시설을 포함한 다중이용시설이 자정까지 영업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정부는 다음달부터 완화된 거리두기 체계를 적용하더라도 기본적인 방역수칙은 지켜줄 것을 당부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나경렬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