홍콩보안법 1년…강압·일방통행에 비판 목소리 실종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오는 30일 홍콩 보안법이 시행 1년을 맞습니다.<br /><br />홍콩 내 범민주진영과 각국의 우려에도 중국 정부가 밀어붙인 이 법의 파장은 홍콩 사회 전반에 미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김효섭 PD입니다.<br /><br />[리포터]<br /><br /> "이 법은 국가 안보를 위협하는 행위와 외세와의 유착을 방지 및 처벌하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합니다."<br /><br />2019년 홍콩에서 반년 넘게 이어진 대규모 반정부 시위에 대한 대응으로 중국 정부가 추진했던 홍콩 보안법이 어느새 시행 1년을 맞습니다.<br /><br />법 시행 이후 질서와 안정을 되찾았다고 홍콩 정부는 평가했지만, 비판에 자유롭던 분위기는 자취를 감췄습니다.<br /><br />법 시행 후 선거제 개편이 대표적입니다.<br /><br />공직선거 출마자의 자격을 애국자로 제한하며 충성서약을 강제했습니다.<br /><br />이로 인해 공무원들이 무더기로 해고됐고, 야권 의원들도 줄줄이 사퇴하며 범민주진영의 입지가 좁아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홍콩 당국은 불법집회 관여 혐의로 홍콩 내 범민주진영 활동가들을 대거 체포했습니다.<br /><br />이전보다 처벌이 강화되면서 정부 비판 목소리를 막아버린 겁니다.<br /><br />최근 민간인권전선은 18년 만에 톈안먼 민주화시위 추모 촛불집회를 개최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중국 정부는 언론에도 재갈을 물렸습니다.<br /><br />홍콩 공영방송에는 정부 인사가 임명된 뒤 정부 비판적인 시사 프로그램이 폐지됐고, 반중 인사 지미 라이가 반정부 시위 등을 주도했다는 혐의 등으로 구속됐으며 그가 소유한 빈과일보도 결국 폐간됐습니다.<br /><br />오히려 홍콩 경찰은 가짜뉴스를 단속하겠다며 또 다른 언론탄압을 예고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효섭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