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'중복 경매' 수수료 한해 460억 원...소비자 부담 / YTN

2021-06-29 15 Dailymotion

그런데 제 역할도 안 하면서 수수료 수익만 챙기는 행태, 수협만의 문제가 아니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취재 결과, 수산물 유통의 길목에 수협을 포함한 수산물 도매법인들이 버티고 앉아, 한 해 450억 원 넘는 수수료를 챙기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 <br /> <br />그 부담은 고스란히 소비자 몫입니다. <br /> <br />이어서 기획탐사팀 김지환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국내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서울 가락시장. <br /> <br />여기로 모이는 수산물 대부분은 관문처럼 도매시장법인을 거쳐야 합니다. <br /> <br />1985년 시장 개설 이후 지금까지 상장 경매 제도가 시행되고 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경매 운영권은 산지로부터 수산물을 끌어와야 하는 도매시장법인에 있습니다. <br /> <br />위탁 판매 대가는 수수료. <br /> <br />[김완배 / 서울대학교 농업경제학과 명예교수 : (도매법인으로) 지정받기만 하면 대박을 치는 거죠. 왜냐하면 경매해주고, 예전에는 경매 전체 거래액의 7%였거든요. 수수료가. 요즘은 가락동은 4%가 됐지만….] <br /> <br />도매시장법인이 경매 제도의 취지대로, 산지로부터 수산물 판매를 위탁받는 역할을 제대로만 한다면 수수료는 정당한 유통 비용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산지와 중간도매상, 즉 '중도매인' 간의 직거래가 깊게 뿌리 내린 우리나라의 상관행 속에서 법인들은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법 뒤에 숨어 통행세 걷듯 앉아서 수수료만 챙긴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입니다. <br /> <br />[최영현 / 가락시장 수산중도매인조합 연합회 회장 : 아무 수집 능력이나, 아무것도 한 일이 없어요. 시장을 위해서. 가만히 앉아서 통행세 모양으로 받았거든요. 수수료를….] <br /> <br />도매시장 경매 자체를 비판하는 목소리도 높습니다. <br /> <br />농산물과는 달리 수산물의 가격은 바닷가 근처에서 치러지는 1차 경매를 통해 결정됩니다. <br /> <br />이미 시장 가격이 형성된 물건을 소비지에서 다시 경매에 부치는 건데, 불필요한 유통 비용을 발생시키는 데다 수산물의 생명인 신선도까지 떨어뜨린다는 지적이 나온 지 오랩니다. <br /> <br />[손봉희 /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 수산팀장 : 품목별로 부류별로 정해져 있는 (경매) 시간에 대기하기 위해서. 경매장에 진열 선별을 하고요. 상온에 노출돼있는 상태에서 경매를 진행하는데.] <br /> <br />도매법인들은 위탁 판매 능력이 부족한 점은 어느 정도 인정하면서도 경매제는 꼭 필요하다고 주장합니다. <br /> <br />산지와 소비지에서의 수산물 품질과 수급 사정이 달라서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지환 (kimjh0704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10630054218180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