인사 수요 쌓여가는데…부실 검증 논란에 발목잡힌 靑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두 달째 공석인 해양수산부 장관과 금융감독원장에 더해 지난주 감사원장 사퇴로 청와대 인사 수요는 갈수록 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나 최근 부실 검증 논란까지 겹친 탓에 후임 인선 속도는 더욱 더뎌질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임혜준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 5월, 아내의 도자기 불법 반입 의혹에 박준영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는 청문회 문턱을 넘지 못하고 결국 사퇴했습니다.<br /><br />낙마 두 달이 다 돼가지만, 새 장관 후보자의 윤곽은 아직 드러나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금융감독원장 자리는 전임자 임기 만료 이후 두 달 넘게 공백 상태이고, 최근에는 최재형 원장이 정계 입문을 위해 임기 도중 사퇴하면서 감사원장 자리도 비었습니다.<br /><br />이처럼 인사 수요가 하나둘 쌓여가면서 청와대는 인사라인은 인선 작업에 더욱 속도를 붙여야만 하는 상황이 됐습니다.<br /><br />그러나 이런 가운데 김기표 전 청와대 반부패비서관이 '영끌' 땅투기 파문 속에 낙마하면서 인사 라인은 되레 부실 검증 논란에 휘말리며 발목이 잡혔습니다.<br /><br />청와대는 인사 검증 부실에 대한 지적과 비판을 겸허히 수용한다는 입장이지만, 향후 인사 검증 작업에 더욱 신경이 쓰일 수밖에 없어 보입니다.<br /><br /> "우선은 안에서 검증 시스템과 제도적 보완, 이런 것들을 조금 더 잘 하는 것도 책임을 지는 한 방법이라고 생각하고요. 이것이 꼭 인사수석만의 책임이 아니라 저희 모두 공동의 책임이라고 무겁게 받아들이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새로운 후보자 찾기에 더해 '장수' 장관을 교체하는 개각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어 인선 작업에 적잖은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관측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임혜준입니다. junelim@yna.co.kr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