커진 금리 인상 필요에도 동결 전망…'재확산' 탓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오는 15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결정합니다.<br /><br />이미 인상 방침을 공언했지만, 이번엔 동결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한데요.<br /><br />시중에 넘치는 유동성, 늘어나는 부채 등 금융 불균형이 심해짐에 따라 올릴 이유는 많지만, 코로나19 재확산이라는 변수가 겹친 점이 변수가 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동훈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5월 시중에 풀린 돈은 한 달 새 21조 원 넘게 늘어나 총 3,385조 원,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증가 폭은 4월 50조 원의 절반 이하지만 부동산, 주식 관련 투자 수요가 이어지며 풀린 돈이 자산 가격을 밀어 올리는 이른바 '유동성 파티'가 벌어진 셈입니다.<br /><br />한국은행은 자산시장 과열의 원인인 과잉 유동성을 연내 기준금리 인상을 통해 거둬들이려 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달 금융통화위원회에선 경제 규모의 두 배를 넘는 가계와 기업의 빚으로 인한 부실화 위험 때문에 금리를 올릴 수 없는 딜레마, '부채 함정'의 우려를 지적하는 발언이 나왔습니다.<br /><br />민간부문 빚이 더 늘기 전에 금리를 올려야 한다는 것으로, 금융안정을 위해 연내 금리 인상이 필요하다는 한은의 입장과 결이 같다는 분석입니다.<br /><br />문제는 뜻하지 않게 닥친 코로나19 4차 대유행입니다.<br /><br />살아날 듯하던 경기가 다시 둔화하며 민간소비와 고용 회복이 늦어지면 조기 인상이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 "경제적 영향이 얼마나인지가 가장 관건인데 최근에 4% 이상 성장률을 생각하고 있었는데 안 나올 수 있는 거고요. 그러다 보면 금리 인상 시기를 충분히 늦출 가능성도 있고요."<br /><br />이 때문에 15일 금통위에서는 한은이 금리를 동결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한데, 인상을 주장하는 의견은 1명을 넘기 힘들 것이라는 전망에도 힘이 실립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동훈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