취업자 수 넉달째 ↑…증가세 둔화 속 '재충격' 우려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난달 취업자 수가 넉 달 연속 증가했지만, 4월 최고조였던 증가세는 5월에 이어 주춤해졌습니다.<br /><br />정부는 취업자 수가 코로나 이전 수준 회복에 가까워졌다고 평가했지만, 거리두기가 대폭 강화된 이달엔 사정이 다시 악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<br /><br />조성미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6월에도 취업자 수는 58만2,000명 늘며, 3월부터 시작된 증가세를 이어갔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, 4월에 최대치를 기록했던 증가 폭은 5월부터 차츰 줄어 6월에도 둔화하는 양상이 이어졌습니다.<br /><br />보건업과 사회복지서비스업에서 20만8,000명, 건설업에서 14만 명이 각각 늘어난 반면, 온라인 판매 증가로 타격을 받은 도소매업에서 16만4,000명이, 예술·스포츠와 여가 관련 서비스업에선 4만3,000명이 줄며 전체 증가 폭을 줄인 영향입니다.<br /><br />연령별로 15~29세 청년층이 20만9,000명 늘어 2000년 7월 이후 최대 폭 증가를 나타내자,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SNS에 올린 글을 통해 "청년 고용 상황이 개선되고 있고, 전체 취업자 수는 코로나19 위기 직전인 지난해 2월의 99.4%까지 회복됐다"는 평가를 내놨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 여파에다 무인 판매기 등 소규모 영업장에서도 인력이 필요 없어지는 환경이 확대되면서 직원을 둔 자영업자는 지난달에만 8만4,000명 줄었고, 혼자 영업하는 사장은 11만3,000명 늘었습니다.<br /><br /> "자영업자가 지난달에 증가로 약간 전환됐는데, 주된 원인은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가 증가한 영향이 큽니다. 키오스크(무인 판매기) 등 또는 무인사업장 확대 이런 요인들이 있는 것 같고요."<br /><br />앞으로도 자영업에서 고용이 줄어드는 추세는 이어질 전망인데다, 이달 초부터 대폭 강화된 사회적 거리두기 시행으로 다시 대면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고용 충격이 재현될 거란 우려가 나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조성미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