세계보건기구, WHO 사무총장이 중국에 코로나19 기원을 밝히기 위한 다음 단계 조사에 더 협조할 것을 촉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신규 확진자 수를 기록 중인 인도네시아는 나흘 연속 최다 기록을 갈아치웠습니다. <br /> <br />국제부 조수현 기자와 함께 자세한 소식 살펴봅니다. 어서 오세요. <br /> <br />코로나19 기원 조사에 대한 WHO 사무총장 발언부터 전해주시죠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밤 사이 제네바에서 열린 화상 브리핑에서 나온 내용인데요. <br /> <br />거브러여수스 사무총장은 WHO가 코로나19 기원을 밝히기 위한 다음 단계 조사를 진전시키기 위한 체계를 개발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, 중국이 투명하고 개방된 자세로 협조할 것을 촉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WHO가 팬데믹 초기에 요청한 정보, 있는 그대로의 데이터를 제공할 것을 거듭 당부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, 지난 2월 진행됐던 WHO 조사를 거론하면서, 그동안은 여러 가능성 중 하나였던 '실험실 기원' 의혹을 축소하려는 성급한 움직임이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실험실 안에서 무슨 일이 있었는지, 정확하게 알아내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직접 들어보시겠습니다. <br /> <br />[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/ WHO 사무총장 : 팬데믹 이전과 발생 초기의 실험실 상황에 대한 직접적인 정보가 필요합니다.] <br /> <br />WHO 본부를 찾은 옌스 슈판 독일 보건장관도 G7 정상들이 촉구한 추가 조사에 지지를 표하면서, 중국이 협조를 강화할 것을 촉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지난 2월 진행된 WHO 조사는 어떻게 마무리됐었나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당시 WHO가 주도하는 국제 전문가팀은 코로나19 발병지인 우한에서 현장 조사를 벌였는데요. <br /> <br />WHO는 조사 보고서를 통해, 박쥐에서 시작된 코로나19가 중간 숙주를 거쳐 사람으로 전파됐다는 가설에 무게를 뒀습니다. <br /> <br />'실험실 기원설' 가설은 가능성이 극히 낮다고 결론 내렸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중국 정부가 조사단의 자료 접근을 제한해 투명하고 충분하게 조사하지 못했다는 비판이 잇따르면서 WHO 조사가 또 한 번 논란이 됐고요. <br /> <br />미국 정보당국은 '실험실 기원' 의혹을 거듭 제기하며 자체적인 정보 수집에 나섰죠. <br /> <br />거브러여수스 총장은 사실 지난해 조사 때부터 중국에 치우친 태도를 보여왔는데, 이제 와서 투명한 조사를 촉구하는 데 대한 비판적인 목소리도 많습니다. <br /> <br />이미 중국이 증거 인멸을 했을 수 있다는 지적도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조수현 (sj1029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10716085113825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