독일과 벨기에 등 서유럽에 100년 만에 쏟아진 기록적인 폭우가 홍수로 이어지면서 대규모 인명피해가 발생했습니다. <br /> <br />복구 작업이 진행 중이지만 통신망이 끊긴 지역이 많아 피해 규모가 제대로 집계되지 않고 있고 코로나 확산도 우려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홍수 피해 현장에 김지선 리포터가 다녀왔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유례없는 홍수 피해로 사망자만 백 명이 넘게 발생한 독일 라인란트팔츠주 아르바일러 지역. <br /> <br />대홍수 사태가 난 지 여러 날이 지났지만, 마을은 여전히 진흙투성이의 쓰레기 더미에 뒤덮여 있습니다. <br /> <br />침수된 살림살이들을 집 밖으로 끄집어 내는 이재민들은 처참한 상황에 말을 잃었습니다. <br /> <br />[게오르그 바우어 / 독일 아르바일러 : 저는 이번 홍수로 직격탄을 맞았고, 집을 비워야 했습니다. 저의 집은 바로 강 옆이었어요. 그곳 상황은 매우 참담합니다.] <br /> <br />폭우와 홍수가 휩쓸고 간 인근 지역도 사정은 마찬가집니다. <br /> <br />[수잔느 둔케 / 독일 블레셈 : (우리는) 모든 것을 잃었습니다. 모르겠어요. 너무 끔찍하고 슬픕니다.] <br /> <br />한인들도 침수 피해를 입었습니다. <br /> <br />[이두영 / 주독일 한국대사관 총영사 : (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와) 라인란트팔츠 주에 계신 여러 가구가 침수 피해를 입어 물빼기, 잔해더미 옮기기 등 힘겨운 작업을 계속하고 있습니다. 한인 피해 가구를 위해 공관 직원들을 급파하여 당장 필요한 물품을 전달했지만, 이분들이 입은 피해에 비하면 매우 부족한 실정입니다.] <br /> <br />범람한 물이 잦아들어 수위가 낮아진 강 주변에서는 쓰러진 나무를 치우고, 끊어진 다리를 복구하는 작업이 한창입니다. <br /> <br />군경과 소방관, 자원봉사자들이 온몸이 진흙 범벅이 된 채 복구 작업에 매달리고 있지만 피해 규모를 가늠할 수 없는 상황에서 진척이 더뎌, 주민들 걱정이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전기와 통신망이 끊기면서 복구 작업은 난항을 겪고 있고 정확한 실종자 집계조차 되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이번 대홍수의 원인을 '기후 위기'로 꼽고 있지만, 독일 야권과 언론에서는 연방정부의 총체적 대응실패라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5천억 원이 넘는 피해 복구 자금이 지원될 예정이지만 피해 규모가 갈수록 커져 복구에는 천문학적인 비용과 시간이 들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독일 내 델타 변이 확산으로 하루 신규 확진자가 천 명이 넘게 나오고 있어 코로나 감염 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이향 (kimrh1025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10731055742691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