비수도권 연일 최다 확진…전국화 양상 심화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비수도권 지역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어제에 이어 지난해 1차 대유행 이후 최다 기록을 다시 경신했습니다.<br /><br />수도권에서 시작한 4차 대유행의 전국화 양상이 더 심화하는 모양새입니다.<br /><br />자세한 내용 보도국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.<br /><br />이호진 기자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오늘(12일) 0시를 기준으로 서울과 경기, 인천을 제외한 비수도권 지역 신규 코로나19 확진자는 746명입니다.<br /><br />어제 740명보다 6명이 늘어 4차 대유행 이후는 물론, 지난해 2-3월 1차 대유행 이후 비수도권 최다 기록입니다.<br /><br />전체 신규 확진자 대비 비수도권 비중도 38.3%로 조금 늘었습니다.<br /><br />비수도권 전 지역에서 두자릿수 이상 확진자가 발생했습니다.<br /><br />지역별로는 부산 128명, 경남 108명, 충남 84명, 충북 75명, 경북 63명, 울산 53명, 대전 51명 등 순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비수도권에서 가장 많은 확진자가 발생한 부산은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를 적용 중이지만 계속 세자릿수 확진자가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기존 집단감염이 확산하며 지역사회 전파로 이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경남에서도 창원을 중심으로 확산세가 이어지며 연일 100명 넘는 확진자가 발생했습니다.<br /><br />창원 농협마트와 김해 요양병원 관련 확산이 경남지역 확산세를 주도하고 있는 모양새입니다.<br /><br />충청권에서는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가 적용된 지 보름이 넘은 대전의 경우 확산세가 다소 꺾인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대전은 일주일 전에는 하루 평균 70명 넘게 확진자가 나왔던 반면, 최근 일주일은 하루 평균 50명 이하 확진자가 발생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충남과 충북은 확진자가 늘었습니다.<br /><br />충남은 천안과 아산 확산세에, 논산과 당진 등에서도 확진자가 늘며 전역에서 확진자가 발생했습니다.<br /><br />충북의 경우 영동에서 고등학생들의 1박 2일 모임이 집단감염으로 이어졌습니다.<br /><br />영동 내 3개 학교에서 관련 확진자가 발생했고, 누적 확진자도 10명이 넘었습니다.<br /><br />대구와 경북에서도 신규 감염원 없이 지역사회 전파로 확산세가 이어졌고, 울산에서도 연일 50명 넘는 확진자가 발생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비수도권 지역에서도 병상 부족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고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그렇습니다.<br /><br />비수도권 대부분 지역에서 확진자가 크게 늘면서 병상수 부족 현상도 현실화하고 있는 모습입니다.<br /><br />각 시·도의 병상 가동률이 최근 크게 높아졌습니다.<br /><br />어제를 기준으로 부산은 일반병상 400개 가운데 339개 병상이 사용 중이고, 중환자 병상은 47개 가운데 20개 병상이 찼습니다.<br /><br />경남 역시 지역별로 병상 가동률이 80%에 이르는 상황입니다.<br /><br />각 지역 생활치료센터 상황도 좋지는 않은데요.<br /><br />대구의 경우 중앙공무원연수원에 마련된 생활치료센터 160실 가운데 137실이 차면서 경주 현대자동차연수원에 280실 규모 생활치료센터를 추가로 운영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대전 역시 제2 생활치료센터까지 포화상태에 접어들면서, 5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대전 내 한 기업체 연수시설을 제3 생활치료센터로 운영하는 방안을 협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이 외 지역에서도 병상 가동률이 올라감에 따라 각 자치단체가 병상 확보를 위해 분주히 움직이고 있는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보도국에서 전해드렸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