아프가니스탄 정부가 예상외로 빨리 무너지면서 중국도 탈레반의 정권 탈환에 촉각을 세우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 베이징 특파원 연결해 이 소식 알아보겠습니다. 강성웅 특파원! <br /> <br />중국 정부의 입장이 나왔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중국 정부는 아직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아프간 상황이 시시각각 변하고 있는데다 상황이 간단하지 않다고 판단을 하는 것 같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은 탈레반 정권이 들어설 경우 이슬람 근본 주의 성향의 테러가 중국을 포함한 주변 지역으로 번지는 것을 가장 우려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아프간은 중국의 신장위구르 자치구와 국경을 접하고 있는데, 탈레반의 정권 탈환을 계기로 이 지역에서 이슬람 독립운동 세력이 커지는 것을 걱정하는 겁니다. <br /> <br />앞서 왕이 외교부장은 지난달 28일 탈레반이 전세 를 뒤집자 탈레반의 2인자로 알려진 물라 압둘 가니 바라다르를 중국 톈진으로 초청해 만났습니다. <br /> <br />이 자리에서 왕이 외교부장은 신장 독립운동 단체인 '동투르키스탄 이슬람 운동'을 직접 거명 하면서, 탈레반에 이들 단체와의 관계를 철저히 단절하라고 촉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대해 탈레반은 어떠한 세력도 아프간의 영토 를 이용해 중국에 해를 끼치지 않도록 하겠다는 답변을 했다고, 당시 중국 외교부는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 외교부는 또, 탈레반이 중국에 아프간의 재건에 참여해달라고 요청하면서, 탈레반도 투자 환경 조성을 위해 노력 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전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렇다면 미국이 철수한 아프간이 중국 쪽으로 기울 가능성이 있는 겁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미국이 빠졌기 때문에 어떻든 중국의 영향력은 커질 것으로 보이지만, 탈레반이 집권 이후 어떤 정책을 펴느냐에 따라 달라질 가능성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중국과 탈레반과의 대화를 토대로 예상해 보면 양국이 협력을 할 여지는 있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은 아프간 재건 참여를 명분으로 세력 확장 전략인 '일대일로'를 통해 아프간에 대한 경제적 지원에 나설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탈레반이 이슬람 근본주의 성향이기 때문 에 신장의 이슬람 문제를 어떻게 다룰지 예단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중국이 사전에 탈레반에 대해 신장 독립세력과 관계를 끊으라고 요구했는데, 중국도 이런 점을 우려해서 선수를 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 관영 매체들은 아프가니스탄의 정정 불안이 미국 탓... (중략)<br /><br />YTN 강성웅 (swkang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10816140108544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