日 코로나 긴급사태 또 연장…감염억제 효과 '미지수'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코로나19의 폭발적인 확산에 일본 정부가 또다시 긴급사태 카드를 빼들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이미 일부 지역에서는 긴급사태가 발효 중이어서 이번 조치의 실효성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박혜준 PD입니다.<br /><br />[리포터]<br /><br />일본 정부가 코로나19 긴급사태를 연장하고 적용 지역을 확대했습니다.<br /><br />도쿄와 오사카 등 이달 말을 시한으로 이미 긴급사태가 내려진 6개 지역은 다음달 12일까지 긴급사태가 연장됩니다.<br /><br />교토와 후쿠오카 등 7개 지역도 추가로 긴급사태가 선포되면서 오는 20일부터는 이에 따른 방역조치가 시행됩니다.<br /><br />이와 함께 중점조치 대상에 10개 지역을 추가하고, 역시 다음 달 12일까지 발령 시한을 연장했습니다.<br /><br />이로써 29개 지역이 코로나19 특별대책 구역으로 지정됐는데, 일본의 47개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약 60%인 셈입니다.<br /><br /> "델타 변이가 전 세계적으로 만연하고 있으며, 일본에서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감염 확산이 계속되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하지만 이같은 특별대책이 반복되면서 코로나19 확산 방지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<br /><br /> "솔직히 긴급사태가 이전과 유사하다면 아무런 임팩트가 없습니다. 긴급사태의 내용이 달라지지 않으면 효과가 거의 없을 것입니다."<br /><br />실제로 NHK 집계에 따르면, 지난달 12일 됴코에 4차 긴급사태가 선포됐지만 도쿄 올림픽을 치르면서 코로나19 신규확진자는 폭증했습니다.<br /><br />긴급사태 선포 확대가 발표된 17일, 일일 신규확진자도 1만9천여명으로, 전날에 비해 증가했습니다.<br /><br />일각에서는 일본 정부가 내놓는 방역 대책이 도시 봉쇄처럼 강제성을 띄지않고, 시민들의 자발적인 협조에 의존하고 있다는 데 문제를 제기합니다.<br /><br />마이니치 신문은 이달 초 도쿄 번화가 음식점 약 500곳 가운데 40% 이상이 영업시간 단축 요청에 응하지 않았다고 전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박혜준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