장애와 가난에 시달리다가 홀로 세상을 떠난 이들을 위한 장례식이 3일 동안 치러졌습니다. <br /> <br />조문객들은 반복되는 고독사는 부실한 복지제도 탓이라며 이는 '사회적 타살'과 다름없다고 개탄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준엽 기자가 다녀왔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어떤 장례식입니다. <br /> <br />이름도 얼굴도 없는 영정 두 개가 놓여 있습니다. <br /> <br />사람들은 누구를 위해 향을 피우고 꽃을 바쳤을까요? <br /> <br />지난 8일 서울 월계동 터널 앞에 주차된 차에서 50대 A 씨가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. <br /> <br />집이 없어 차에서 살던 A 씨는 기초생활보장 심사를 두 달째 받고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29일에는 서울 홍은동 옥탑방에서 뇌병변 장애인 B 씨가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. <br /> <br />B 씨는 기초생활수급이 끊기는 게 두려워 새벽에 몰래 마트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이처럼 돈이 없거나 장애를 앓는 이들이 사회의 관심 밖으로 밀려나 홀로 죽는 일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보다 못한 장애·빈곤 활동가들이 이들을 추모하는 '합동 사회장'을 열었습니다. <br /> <br />[김윤영 / 빈곤사회연대 활동가 : 분배에 실패한 사회의 결과로 가난한 이들의 죽음을 치르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음을 모으자는 취지로….] <br /> <br />식장을 찾은 이들은 이런 고독한 죽음이 코로나19 이전부터 반복된 무관심이 낳은 '사회적 타살'이라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. <br /> <br />[김달주 /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상임위원 : 똑같은 인간의 존엄을 갖고 태어났음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죽어가야 합니까? 사회의 타살이라고 이야기할 수밖에 없습니다.] <br /> <br />장례 기간 3일 동안 300여 명이 추모위원으로 등록했고 기리는 글도 남겼습니다. <br /> <br />장례 위원회는 명단과 메시지를 모아 복지제도 전반을 손봐달라는 서한과 함께 청와대와 유력 대선주자들에게 보냈습니다. <br /> <br />[정성철 / 빈곤사회연대 활동가 : 가난한 사람들의 필요와 현재 삶의 질을 낮추는 결정을 반복하는 정책이….] <br /> <br />무명씨들의 죽음. <br /> <br />사회는 뒤늦게 애도해보지만 살아 있을 때 돕지 못해 부끄러울 따름입니다. <br /> <br />YTN 이준엽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준엽 (leejy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. <br />[카카오톡] YTN을 검색해 채널 추가 [전화] 02-398-8585 [메일] social@ytn.co.kr [온라인 제보] www.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10820075111088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