바이든 약속에도 잔류 미국인들 "불안 넘어 배신감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 국방부는 아프간은 이제 군의 영역에서 외교의 영역으로 넘어갔다며 국무부가 후속 조치를 주도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국무부는 대피 지원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고 강조했지만, 현지에 남아있는 미국인들은 극도의 불안감을 토로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워싱턴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.<br /><br />이경희 특파원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. 미 국방장관은 브리핑을 통해 전쟁은 끝났고 우리는 외교가 주도하는 새 국면으로 들어서고 있다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아프간 대피 작업이 더는 국방부의 영역이 아닌 국무부의 영역이라는 설명인데요.<br /><br />국무부는 현지 대피를 위한 24시간 태스크포스가 여전히 가동 중이라며 대피를 희망하는 모든 사람이 아프간을 빠져나올 때까지 지속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그러나 과연 남아있는 미국인과 미국에 협력한 아프간 현지인들을 두고 철수를 한 것이 옳았는가를 두고는 공방이 여전한데요.<br /><br />CNN은 이들이 두려움을 넘어 배신감까지 토로하고 있다면서 현지 체류 중인 미국인의 불안한 목소리를 전했는데요.<br /><br />14년간 아프간에서 통역사로 일했다는 이 여성은 미 국무부의 지시에 따라 카불 공항으로 나가 출입구를 돌아다녔지만 안으로 들어가지 못했다면서 "이제 누구를 믿어야 할 지 모르겠다"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또 다른 외신 인터뷰에서 군 통역사였던 아프간인도 미국의 특별이민비자를 받고 공항으로 달려갔지만, 수많은 인파 탓에 비자를 보여줄 입구까지 가지도 못했다면서 탈레반이 집에 들이닥칠까 두려움 속에 지내고 있다고 불안감을 토로했습니다.<br /><br />미군이 대피 종료 마지막 몇 시간 동안에는 영주권자가 아니라 미국 여권 소지자만 공항 안으로 들여보냈다는 주장도 나왔는데요.<br /><br />대피를 보장한다는 거듭된 미국 정부의 약속에도 불구하고 현지의 불확실성 속에 우려는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국은 IS에 보복을 천명한 이후 아프간에서 2차례 드론공격을 실시했죠.<br /><br />미군은 철수했지만 앞으로 드론을 통한 공습은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고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. 어제 조 바이든 대통령은 대국민 연설에서 아프간 전쟁은 끝났지만 아프간 내 테러 세력을 추적하는 건 끝나지 않았다면서 또 다른 전쟁을 예고한 바 있습니다.<br /><br /> "미국에 피해를 주려는 이들, 우리와 동맹에 테러를 가하려는 이들에게 분명히 말합니다. 미국은 멈추지 않을 것이고, 용서치 않을 것이며 잊지 않을 것입니다. 지구 끝까지 추적해 엄청난 대가를 치르게 할 것입니다."<br /><br />아프간에서 미군은 철수했지만 테러 세력을 소탕하기 위한 군사 공격은 계속될 것임을 시사한 건데요.<br /><br />정치전문매체 더힐은 바이든 정부가 아프간에서 드론을 이용한 공습을 이어갈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면서 "앞서 두 차례 감행된 드론 공습이 미군이 아프간을 떠나도 군사작전은 지속될 수 있다는 메시지를 테러 세력에 전하려는, 계획된 것으로 보인다"고 분석했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은 지난달 26일 이슬람국가의 아프간지부, IS 호라산의 테러 공격 이후 두 차례 드론 공격으로 IS-K 고위급 인사 2명을 제거한 데 이어 폭탄을 실은 테러 세력의 차량을 명중시켰는데요.<br /><br />미군이 더 이상 주둔하지 않으면서 쓸 수 있는 선택지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 드론 공격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것입니다.<br /><br />그러나 무인 공격은 정보 습득 등 여러 면에서 한계가 뒤따를 수 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오는데요.<br /><br />이는 곧 민간인 사상자를 낼 가능성으로 이어지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또 주둔 미군이 없는 만큼 무인 공격기가 아프간 외부에서 출격해야 하고 이는 곧 더 많은 유지 비용이 필요하다는 뜻이라고 군사 전문가들은 분석합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워싱턴에서 전해드렸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