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인 가구 청약의 문 열렸지만…실효성은 물음표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주택 청약 당첨이 사실상 불가능했던 1인 가구나 고소득·무자녀 부부도 11월부터 도전의 길이 열립니다.<br /><br />정부가 생애최초와 신혼부부 특별공급 제도를 고쳐 이들을 위한 추첨 물량을 만들기로 했기 때문인데요.<br /><br />젊은 층의 불안 심리를 달래기 위한 것인데 물량이 충분할지는 의문입니다.<br /><br />이재동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새로운 청약제도의 핵심은 민간 아파트의 신혼부부·생애최초 특별공급 물량 30%가 추첨제로 분양한다는 겁니다.<br /><br />그동안 특공 신청 자체가 불가했던 1인 가구의 지원을 60㎡ 이하 주택에 한해 허용합니다.<br /><br />기존 특공 청약에서 소외됐던 고소득 맞벌이 가구에도 청약의 문을 열어줬습니다.<br /><br />그간 신혼부부 특공은 자녀 숫자 순으로 당첨이 이뤄진 만큼, 자녀 없는 부부의 당첨 기회도 넓어질 것으로 정부는 내다봤습니다.<br /><br />지금 무리하게 집 사려고 가계부채와 집값 문제를 악화시키는 데 일조하지 말고 3기 신도시 등의 청약을 기다리란 메시지인 셈입니다.<br /><br />관건은 이 물량이 20·30대들의 아파트 매수 열기를 잠재울 만큼 충분하냐는 점입니다.<br /><br />최근 수도권 신규택지 사전청약에서도 특별공급 경쟁률은 평균 15.7대 1에 달할 정도로 신청이 몰렸는데, 청약 문턱을 낮추면 경쟁률은 더욱 높아질 수밖에 없습니다.<br /><br /> "우선공급 세대에서 탈락한 세대까지 포함해서 추첨을 하기 때문에 훨씬 적은 비율로 해당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되고, 청년들이 '영끌'로 주택을 사는 현상들을 잠재우기에는 부족하지 않나…"<br /><br />지난해 민영주택 신혼부부·생애최초 특공 물량은 약 6만 가구, 이 중 30%는 적지 않다고 정부는 강조합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서울을 중심으로 공급이 수요를 따르지 못하는 상황에서 실제 청년층의 청약 기대를 흡수하기는 어려울 것이란 지적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재동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