카카오 문어발 확장…"골목상권 침해 vs 혁신 저해"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네이버와 카카오 주가가 연이틀 급락했습니다.<br /><br />문어발식 확장과 편법 금융 중개 논란을 빚은 빅테크 기업을 향한 정부 여당의 규제 움직임 때문인데요.<br /><br />플랫폼 기업을 둘러싼 논란은 이어질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소재형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빅테크 기업의 대명사 카카오의 확장은 분야를 가리지 않습니다.<br /><br />은행이나 게임은 물론이고 헤어샵과 택시, 대리운전 등에 이르기까지 골목상권 깊숙이 파고들었습니다.<br /><br />플랫폼을 활용해 이용자를 늘린 뒤 수익모델을 만드는 식인데, 이 과정에서 이용자들의 불만은 끊이지 않습니다.<br /><br /> "이제까지 카카오택시 수수료를 전혀 안 내고 있다가 갑자기 5만9천 원, 9만9천 원 내라고 하면 얼토당토않은 소리죠."<br /><br />정부와 정치권에서도 빅테크 기업들에 대한 견제 움직임이 본격화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금융위원회는 네이버나 카카오의 플랫폼을 통한 금융상품 광고가 금융소비자보호법상 중개 행위라며 사실상 이를 금지했고, 여당에서는 5년 새 자회사 수를 2배 이상 급속도로 늘린 카카오의 문어발식 확장을 비판하며 규제를 예고했습니다.<br /><br />규제 움직임이 본격화하면서 네이버와 카카오의 주가는 이틀 연속 급락세를 면치 못했습니다.<br /><br />다만, 정치권의 규제 움직임이 과도하다는 볼멘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플랫폼이 적자 경영하면서도 소비자의 편의성을 위해 노력했습니다. 플랫폼을 규제의 대상으로만 바라보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."<br /><br />빅테크 기업을 둘러싼 논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다가오는 국정감사에서도 이 같은 문제들이 도마 위에 오를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소재형입니다. (sojay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