헝다, '급한 불'은 껐지만…2대 주주는 지분 처분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우리 돈 350조 규모의 부채를 떠안고 파산설에 휩싸인 중국의 2위 부동산 개발업체 헝다가 일부 채권 이자 지급을 약속하면서 시장의 불안이 다소 진정되는 모습입니다.<br /><br />그럼에도 불확실성은 여전한데요, 베이징 임광빈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헝다 그룹의 채무불이행 위기 속에서도 헝다가 상장해 있는 홍콩 증시는 반등했습니다.<br /><br />위기의 진원지 헝다 주식 역시 12% 넘게 올랐습니다.<br /><br />헝다가 위안화 채권 이자 2억 3천 200만 위안. 우리돈으로 약 425억 원을 '해결'했다고 밝히면서 투자자들이 다소 안도하는 모습입니다.<br /><br />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전날(22일) 시장에 900억 위안의 자금을 공급한 것도 그 배경으로 풀이됩니다.<br /><br /> "채권 보유자들은 만기가 도래한 이자 지급의 교환 결제에 동의했습니다. 이것은 그들이 대출을 재조정했거나 이론적으로 채무 불이행을 피할 수 있도록 제때에 지불을 받았다는 뜻입니다."<br /><br />다만 해당 위안화 채권 보유 기관과 '개별 접촉'을 통해 문제를 해결했다고 밝힌 헝다의 성명을 두고 미봉책을 썼을 것이란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더구나 해외 채권에 대한 이자 8천 350만 달러, 우리돈으로 약 993억 원에 대해서는 성명에서도 별도로 언급하지 않은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이런 가운데, 헝다의 2대 주주는 "최근 상황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"며 헝다 주식 전량을 매각했습니다.<br /><br />헝다 사태가 중국 경제 전반에 큰 충격을 줄 수도 있다는 전망 속에서도 중국 당국이 별다른 입장을 밝히지 않는 가운데, 중국 내 금융시장에서는 통제가 가능한 수준이라는 평가도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헝다 그룹에 투자한 중국 내 주요 은행들은 위험을 제어할 수 있는 충분한 담보가 있으며, 헝다의 부동산 개발 프로젝트 관리를 강화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을 내놓았습니다.<br /><br />베이징에서 연합뉴스TV 임광빈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