수도권 아파트 상승폭 둔화…추석 연휴 반짝효과?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금리 인상과 대출 규제에도 전국의 아파트값 오름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래도 그동안 끊임없이 강세를 보이던 매수 심리가 이번주에는 조금 줄었는데요.<br /><br />거래가 뜸할 수밖에 없는 추석 연휴의 반짝 효과일지, 안정의 신호탄일지 이재동 기자가 살펴봤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 "정부는 DSR 강화 등 이미 발표된 대책을 강력히 추진하면서 추가적인 대책도 적극적으로 발굴해 나갈 방침입니다."<br /><br />대출 억제 방침을 거듭 강조한 경제수장의 발언 직후 수도권 아파트값은 9주 연속 최고 상승률 행진을 멈췄습니다.<br /><br />중저가 아파트 매수세는 여전했지만 서울의 주간 상승폭이 다소 줄어드는 등 일부 지역들은 관망세로 돌아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대출 억제 기조가 영향을 끼쳤다는 의견도 있지만 추석 연휴 중개업소 상당수가 문을 닫은 만큼, 반짝 효과라는 반론도 나옵니다.<br /><br />주택 공급 부족이 단기간에 해결되기는 쉽지 않은 탓입니다.<br /><br />연말까지 집값 상승세가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이유기도 한데 변수는 역시 금리입니다.<br /><br />지난달 기준금리가 0.25%p 인상된데 이어 연내 추가 인상이 예고돼 빚을 내 집을 산 사람들의 부담은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.<br /><br />한국은행은 기준금리가 0.5%p 오르면 1인당 연이자는 약 30만원 늘어난다고 분석했습니다.<br /><br /> "기준금리를 추가로 올리더라도 코로나 대유행 이전보다 여전히 낮은 수준인 데다가 전세난이 지속되고 있어서 집값이 곧바로 하락하기보다는 거래량이 둔화되는 양상이 나타날 것으로…"<br /><br />다만, 기준금리 인상은 단순히 이자 부담이 늘어나는 것을 넘어 시중에 흐르는 돈을 줄이겠다는 신호인데다, 시장금리에 영향받는 일선 은행 대출금리는 줄줄이 오르고 있어 유동성 장세의 위축은 불가피해 보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재동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