대전 시내버스 노사가 임금단체 협상을 두고 막판 협상을 벌였지만, 합의점을 찾지 못하면서 노조가 14년 만에 파업에 들어갔습니다. <br /> <br />버스 운행이 차질을 빚으면서 출근길 시민들의 불편이 예상되는데요. <br /> <br />현장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이상곤 기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대전 둔산경찰서 인근 버스정류장에 나와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노사가 막판 협상을 벌였지만, 결국, 결렬됐군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막판 극적 타결은 없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대전 시내버스 노조가 새벽 5시 반 첫차부터 파업에 들어갔습니다. <br /> <br />파업으로 버스 운행이 차질을 빚으면서 출근 시간 정류장에는 많은 사람이 몰려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대전 시내버스 파업은 지난 2007년 이후 14년 만입니다. <br /> <br />파업은 대전 시내버스 노조와 사측인 대전운송사업조합이 새벽 2시까지 밤샘 협상을 벌였지만 합의에 실패하면서 이뤄졌습니다. <br /> <br />기사 천여 명이 파업에 참여하면서 10개 회사의 시내버스가 발이 묶였습니다. <br /> <br />파업에 참여하지 않은 3개 업체와 조합원이 아닌 운수종사자들만 근무가 가능한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노사는 지금까지 10차례의 협상과 조정회의를 진행하면서 임금 동결에는 잠정 합의한 상태인데요. <br /> <br />쟁점은 법정 공휴일 전면 유급화와 정년 연장입니다. <br /> <br />노조 측은 다른 시도와 비교해 합당한 수준으로 근로조건을 개선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유급휴일 수당 지급 시 소급적용 제외와 정년 2년 연장, 코로나 생계비 30만 원 지급 등을 최종안으로 제시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사측이 이를 거부하면서 충남노동위원회가 제안한 조정 기간 15일 연장을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사측은 코로나19로 수익이 30% 정도 급감한 상황이라 수익을 회복한 뒤 처우 개선 등을 논의하자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대전시는 비상 수송대책 시행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전세버스와 관용차 등 149대를 동원해 오늘 하루 586대의 버스를 운행하기로 했는데요. <br /> <br />파업 기간에는 버스가 무료로 운행되고, 지하철 1호선 운행 횟수는 평상시보다 48회 추가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대전시는 또, 택시 부제와 승용차 요일제, 버스전용차로제를 전면 해제하고 공공기관에는 시차출근제 등을 도입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버스가 정상 운행 대비 평일은 61%, 주말은 72% 수준에 그칠 것으로 보여 파업이 끝날 때까지는 시... (중략)<br /><br />YTN 이상곤 (sklee1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10930083914686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