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한반도를 둘러싼 대화 재개 움직임이 일고 있는 가운데, 중국은 북한에 대한 제재 완화를 재차 촉구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미중 갈등 속에 중국은 미국을 압박하면서 한반도 문제에 목소리를 높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베이징에서 강성웅 특파원이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북한의 잇단 미사일 발사 시험에 대해 중국은 자제를 촉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한반도 상황 악화가 중국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하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화춘잉 / 중국 외교부 대변인 (지난 29일) : 관련 각국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이라는 큰 목표에 근거해 냉정과 자제를 유지하기 바랍니다.] <br /> <br />하지만 중국은 북한의 도발에 미국도 책임이 있다 고 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이 대화를 희망하고 있지만, 대화를 하려면 북한의 요구를 들어줘야 한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중국은 미국이 먼저 유엔 안보리의 대북제재를 일부라도 풀어주라고 촉구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왕원빈 / 중국 외교부 대변인 (지난 6일) : 안보리의 대북제재 결의안의 '가역 조항'을 신속 히 발동해 관련 제재 특히 인도적 민생 관련된 규정을 조정할 필요가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일단 대화가 시작되면 비핵화와 평화 협정 협상을 동시에 진행하자는 게 중국의 방안입니다. <br /> <br />UN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러시아도 중국의 이런 해법에 동조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이 핵 개발을 먼저 포기해야 한다는 미국의 입장과는 차이가 납니다. <br /> <br />문재인 대통령이 제안한 종전선언에 대해 중국은 지지하는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동시에 중국도 한국전쟁의 당사국이라며 종전선언 관련 논의에 적극 참여하겠다는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류샤오밍 한반도 특사는 미국은 물론 한국, 일본, 러시아와도 통화하며 활동폭을 넓히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이 내년 2월 베이징 동계 올림픽에 남북 정상을 초청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마침 한반도를 둘러싸고 대화 재개 움직임이 시작되고 있어 중국의 행보는 더 빨라질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베이징에서 YTN 강성웅입니다.<br /><br />YTN 강성웅 (swkang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11002040717374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