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부, 종전선언 국제사회 여론전 속도…북미 간극 여전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종전선언에 대한 국제사회 여론 환기를 위해 정부가 힘 쏟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한반도평화프로세스를 되돌릴 수 없는 단계로 올려놓고자 노력하는 건데요.<br /><br />다만 미국과 북한의 입장차는 좁혀지지 않는 모습입니다.<br /><br />서혜림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정의용 외교부 장관은 '제재 완화론'을 들고나왔습니다.<br /><br />정 장관은 미 워싱턴포스트와 한 인터뷰에서 바이든 행정부가 북한에 구체적인 유인책을 제시해야 한다고 밝혔고, 국회에 출석해선 제재 완화를 검토할 때가 됐다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 "제재 완화가 필요하다고 말씀하시는 거잖아요."<br /><br /> "그렇습니다. 이제는 제재 완화도 검토할 때가 됐다…."<br /><br />김부겸 총리는 일본 언론 인터뷰에서 베이징올림픽에 북한이 참가할 수 있도록 국제올림픽위원회에 관대한 조치를 요청하겠다고 했고,<br /><br />독일을 방문 중인 이인영 통일부 장관은 독일 새 정부가 종전선언의 친구가 돼 주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문재인 대통령의 '종전선언' 제안 이후, 정부가 국제사회의 지지를 확보하기 위해 일사불란하게 움직이는 겁니다.<br /><br />아직 낙관은 이릅니다.<br /><br />미국은 북한과의 신뢰 구축 방안에 열려 있다는 원칙 속에서, 종전선언에 대해 '계속 논의한다'는 선까지만 동의한 상태입니다.<br /><br /> "노규덕 본부장은 한국의 종전선언 구상을 자세히 설명했고, 한미 양측은 이 구상에 대해 계속 긴밀히 소통하기로 했습니다."<br /><br />정 장관의 '제재 완화론'에 대해서는 "북한이 도발을 중단하고, 유엔 안보리 결의를 준수하며, 미국과의 협상에 임해야 한다는 강력하고 통일된 메시지를 보내야 한다"는 3대 원칙을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북한도 연일 '이중기준' 철회를 요구하며 압박 행보를 계속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미사일 발사와 관련한 유엔 안보리 긴급회의 소집에 북한 외무성은 담화를 내고 자주권 침해라고 반발했습니다.<br /><br />평화구상을 둘러싼 관계국들의 셈법이 교차하는 가운데, 정부가 어떤 설득 전략을 구사할지 주목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서혜림입니다. (hrseo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