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K팝과 드라마 등 한류가 새바람을 일으키며 세계적으로 한국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국제적인 수요가 많아지는 만큼 장기적인 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김선희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올해로 세 번째 유엔 연설에 나선 BTS, <br /> <br />앞서 두 차례는 영어로 하거나 한국어를 섞었지만, 이번에는 100% 한국어입니다. <br /> <br />BTS는 한국어 해외 확산의 일등공신으로 꼽히며 이들을 활용한 한국어 교재는 이미 30개국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K팝과 드라마 한류에 힘입어 한국어 수요는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해외에서 한국어 교육을 담당하는 세종학당은 현재 82개국 234개로, 코로나 속에서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권재오 / 문화체육관광부 국어정책과 : 지금은 아프리카, 남미, 중동 등 세종학당이 상대적으로 적었던 국가들까지도 확대가 되고 있어서….] <br /> <br />독일의 한 인문계 고등학교에서는 한국어가 처음 제2외국어 정규과목이 됐습니다. <br /> <br />독일은 아시아 언어를 가르치는 경우가 드문데 영어, 스페인어와 함께 한국어를 채택한 겁니다. <br /> <br />베트남과 인도에서도 한국어를 제2외국어로 정하는 등 해외 초중등 학교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는 경우는 39개국 1,600개가 넘습니다. <br /> <br />내년에는 45개국에 2천 개로 늘린다는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한국어 수요가 많아지는 만큼 한류에 기댈 게 아니라 정부가 더 능동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AI나 메타버스를 이용해 한층 많은 사람이 쉽게 배울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, 한국어 교육의 컨트롤 타워도 필요하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[한재영 / 전 국제한국어교육학회장 : 다양한 기관에서 각자 한국어 교육을 하고 있지만 그것들을 아울러서 하나의 목표로 갈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한국어 교육위원회나 교육청 같은 기구가 필요하다는 것이죠.] <br /> <br />한류와 함께 세계로 뻗어 나가는 한국어, 이제는 좀 더 장기적인 계획과 촘촘한 전략이 필요한 시점입니다. <br /> <br />YTN 김선희입니다.<br /><br />YTN 김선희 (sunny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6_20211009063841194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