순수 우리 기술로 만든 우주 발사체 '누리호' 발사가 하루 앞으로 다가왔습니다. <br /> <br />최종 조립을 마친 누리호는 잠시 뒤 조립 동을 나와 무진동 차량에 실려 발사대로 향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나로우주센터 현장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홍민기 기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 나와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네, 잠시 뒤 누리호가 발사대로 이동한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그렇습니다. <br /> <br />현재 누리호는 엔진 등 주요 부품의 최종 조립을 마쳤습니다. <br /> <br />이제 잠시 뒤, 눕혀진 상태로 조립 동을 나와 발사대까지 이동할 예정인데요. <br /> <br />이동 중에 일어나는 작은 충격을 막기 위해서 무진동 차량, '트랜스포터'가 동원됐습니다. <br /> <br />또 1.8㎞를 1시간 10분에 걸쳐서, 그러니까 사람이 걷는 것과 비슷한 빠르기로 이동합니다. <br /> <br />군과 경찰도 누리호 이동 과정을 철저히 호위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아침 8시 반쯤 발사대에 도착한 누리호는 10시에서 10시 반 사이, 발사대에 우뚝 서게 됩니다. <br /> <br />이후로는 길게 뻗은 녹색 타워, 4개가 누리호 옆에 연결되는데요. <br /> <br />'탯줄'이라는 뜻의 '엄빌리칼'을 통해 공기, 전원, 추진제와 산화제를 충전합니다. <br /> <br />이후엔 내일 오후 발사 전까지 전기, 압력, 내부 온도 등을 계속 점검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네, 우리 기술로 만드는 첫 발사체인 만큼 의미도 남다를 것 같은데요. 자세히 전해주시죠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그렇습니다. <br /> <br />말씀하신 대로 누리호는 우리 기술로 만드는 첫 우주 발사체인데요. <br /> <br />지난 2013년 나로호가 발사에 성공했지만, 핵심 부품인 엔진 등 기술을 러시아에서 빌려왔기 때문에 '절반의 성공'이라는 평가를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그로부터 8년 뒤, 75톤 액체 엔진을 비롯해 발사대까지, 누리호 발사 과정을 우리 손으로 준비할 수 있게 된 겁니다. <br /> <br />이번 누리호 발사의 목적, 1톤 이상 실용급 위성을 대기권 600㎞에서 800㎞ 사이에 올려놓는 겁니다. <br /> <br />만약 발사에 성공한다면, 우리나라는 미국과 러시아, 중국, 일본, 인도 등에 이어 독자적으로 발사체를 우주로 보낼 수 있는 세계 7번째 국가가 되는데요. <br /> <br />현재 발사 예정 시각은 내일(21일) 오후 4시입니다. <br /> <br />목표 고도에 도달했는지, 궤도에 올라가는 투입 속도가 정상인지 등이 성공 여부의 관건인데요. <br /> <br />누리호는 16분 동안의 우주 여정 끝에 인공위성 모사체를 700km 궤도에 올려놓게 됩... (중략)<br /><br />YTN 홍민기 (hongmg1227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5_20211020065514277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