순수 우리나라 기술로 만든 우주 발사체, 누리호가 발사에 성공했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위성 모사체를 목표 고도에 올려놓는 임무에는 아쉽게도 성공하지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나로우주센터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 홍민기 기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 나와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네, 누리호가 절반의 성공을 거뒀다고요? 자세히 전해주시죠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로켓 발사에는 성공했지만, 아쉽게도 위성 모사체를 고도 700㎞에 올려 놓는 데는 실패했는데요. <br /> <br />먼저, 오늘 하루 발사 준비 과정부터 발사 순간까지 되짚어 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오전 10시, 내부 전기 설비를 점검하는 등 누리호 발사 준비가 본격적으로 시작됐습니다. <br /> <br />누리호가 견디기 힘들 정도로 강한 '고층풍' 때문에 발사가 늦어질 수 있다는 예측이 나오기도 했지만, <br /> <br />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예정된 발사 시각에 변동은 없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긴장의 순간은 이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기상 상황과 발사체 상태를 다시 점검한 발사관리위원회는 오후 두 시 반, 발사 시각을 처음 계획보다 한 시간 늦춰진 오후 다섯 시로 확정했습니다. <br /> <br />오전 11시 반쯤 누리호를 점검하던 중, 하부 밸브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여 확인하느라 시간이 지연됐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다만 문제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고, 이후 준비는 순조롭게 진행됐습니다. <br /> <br />그리고 마침내 5시 정각, 누리호는 75톤급 엔진 네 개에서 밝은 불꽃을 내뿜으며 우주를 향해 날아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나로호의 실패 원인이었던 페어링 분리에도 성공한 누리호는, 발사 15분 만에 목표인 고도 700㎞에 우주 모사체를 분리하는 데에 성공했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30분 동안 데이터 분석을 마친 결과, 우주 모사체가 목표 고도에는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는데요. <br /> <br />로켓 3단부에 장착된 엔진이 목표 시간보다 이르게 연소된 겁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주요 발사 단계를 모두 이행했고, 엔진 클러스터링과 단 분리 기술 등 핵심 기술을 확보했다는 점에서, 성과는 분명합니다. <br /> <br />항우연은 내년 5월, 진짜 위성을 싣고 재도전에 나서는 등 우주 독립을 위한 노력을 계속 이어나갈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YTN 홍민기입니다. <br /> <br />YTN 홍민기입니다.<br /><br />YTN 홍민기 (hongmg1227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5_20211021192136809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