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먹는 치료제' 코로나 판도 바꿀까…선구매 경쟁 속 우려도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세계 각국이 '먹는 코로나 치료제' 출시를 서두르면서 각국의 선구매 경쟁도 뜨겁습니다.<br /><br />방역의 판도를 바꿀 게임 체인저가 될 것이란 기대와 함께 과연 부작용은 없을지에 대한 불안감은 여전한데요.<br /><br />김지수 기자의 보돕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해외 주요 제약사들이 캡슐이나 알약 형태의 먹는 치료제 개발 경쟁에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현재 개발 속도가 가장 빠른 치료제는 미국 머크앤드컴퍼니의 '몰누피라비르'.<br /><br />미국 식품의약국, FDA가 긴급 사용 승인을 위해 약의 효능과 안전성 등을 심사 중이며, 유럽의약품청도 동반 심사에 들어갔습니다.<br /><br />FDA의 외부 자문기구는 다음달 30일 회의를 열어 몰누피라비르의 긴급사용 승인 권고 여부를 결정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이 경구치료제를 선구매하려는 각국의 경쟁도 치열합니다.<br /><br />프랑스가 5만 회분을 미리 주문했고, 말레이시아도 15만 회분을 사들이기로 하고 이달 초 구매 동의서에 서명했습니다.<br /><br />싱가포르, 호주, 뉴질랜드, 대만, 태국도 몰누피라비르 구매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머크의 로버트 데이비스 최고경영자는 보건 당국의 승인을 전제로 연말까지 1천만 명분을 준비할 수 있을 전망이며 내년에는 생산량이 2배가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출시를 앞둔 경구용 치료제가 향후 코로나19와 싸움에서 판도를 바꿀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먹는 치료제가 각광받는 건 며칠간 하루 몇알만 복용하면 환자가 병원에 가지 않고 집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다만, 일각에서 제기된 기형아 유발 등 부작용 우려는 여전합니다.<br /><br />이와 관련 머크 측은 몰누피라비르가 모든 코로나 바이러스 변이에 효과가 있고 인간 세포에선 유전적 변화를 유도하지 않는다는 입장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보건 전문가들은 치료제가 나오더라도 코로나19에 대응하는 유일한 해법이 아니라며 백신 접종의 필요성을 간과해서는 안된다고 지적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김지수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