먹는 치료제 내년 1분기에…환자 이송체계는 '불안'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단계적 일상회복은 반가운 일이지만, 외국 사례에서 보듯 확진자가 또 급증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문제는 이런 일이 벌어져도 방역, 의료체계가 감당 가능하냐인데요.<br /><br />먹는 치료제 확보를 비롯한 일상회복의 전제 조건들이 얼마나 충족됐는지 김민혜 기자가 살펴봤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단계적 일상회복에 들어가면 사람 간 접촉이 늘어나, 코로나 확진자는 늘어날 가능성이 큽니다.<br /><br />예방보다 치료가 중요해지는 만큼, 치료제 확보가 필수입니다.<br /><br />정부는 먹는 코로나 치료제 40만 4,000명분을 선구매하거나 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 "MSD사와 20만 명분의 구매계약을 완료했고 화이자사와는 7만 명분에 대한 선구매 약관을 각각 체결했습니다. 13만 4천 명분에 대한 선구매 계약도 조속히 확정하도록 하겠습니다."<br /><br />약은 내년 1분기부터 들어오는데, 기저질환이 있거나 고령인 경증·중등증 환자에 처방됩니다.<br /><br />치료의 중심도 병원, 생활치료센터에서 재택치료로 바뀝니다.<br /><br />중등증, 중증 환자는 지금처럼 병원에서 치료받지만, 70세 이상이나 투석환자 등을 제외한 무증상·경증 환자는 재택치료 대상입니다.<br /><br />다만, 재택치료 안착에는 중증화한 환자의 신속한 이송체계 구축이 필수인데, 지난 24일 서울에서 재택치료 중이던 환자가 당국 간 정보 공유 차질로 이송이 늦어져 숨지는 일이 발생한 만큼, 안심하기 어려운 대목입니다.<br /><br />또 다른 과제는 백신 접종률을 더 끌어올려 중증화나 사망 위험을 낮추는 겁니다.<br /><br />연말까지 국민 접종 완료율 80% 이상 달성이 정부 목표인데, 그러려면 이상반응에 대한 적극적 치료 지원으로 불안감부터 해소할 필요가 있습니다.<br /><br /> "즉시 인과관계가 설명되지 않더라도 시간상 등 관계에서 부작용으로 의심된다면 우선 지원을 해주시고…."<br /><br />정부는 또 역학조사 효율화를 위해 접촉자 격리기간도 2주에서 열흘로 줄일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민혜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