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1월 4일, 오늘은 시각장애인을 위한 한글 점자가 반포된 '점자의 날'입니다. <br /> <br />한글 점자를 만든 송암 박두성 선생은 시각장애인들의 세종대왕이라고 불리는데요, <br /> <br />선생의 생가가 인천 교동도에 복원됐고 한글 점자 기념관도 건립될 예정입니다 <br /> <br />이기정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북한땅과 마주한 인천 강화군 교동도에 새롭게 초가지붕을 얹은 가옥이 들어섰습니다. <br /> <br />시각장애인들도 책을 읽을 수 있도록 한글 점자를 처음 만든 송암 박두성 선생의 생가가 복원된 겁니다. <br /> <br />입구에는 1926년에 탄생한 '훈맹정음'의 부조물이 세워져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이규일 / 인천시각장애인 총연합회 회장 : 연합회 차원에서도 계속 송암 선생님에 대한 업적도 알리고 점자에 대한 귀한 부분들 또 점자가 유리한 부분들 이런 것들을 계속 널리 보급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일제 강점기에 제생원 맹아부 교사였던 송암은 일본어 점자만 있는 현실을 개탄해 조선어점자연구회를 조직하고 6점으로 이뤄진 한글 점자를 만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그가 시각장애인들의 세종대왕이라고 불리는 이유입니다. <br /> <br />송암 박두성문화사업회는 사회적 약자를 위한 역사적 인물이 정작 고향에서는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다며 오랜 노력의 결실이 이뤄지고 있다고 반겼습니다. <br /> <br />[박상은 / 송암 박두성문화사업회 이사장 : 시각장애인들의 복지라든가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문화생활을 위한 노력을 많이 하셨거든요. 송암 선생은 중앙이나 인천에서는 많이 알려져 있지만, 교동이나 강화에 있는 분들은 전혀 모르세요.] <br /> <br />인천시와 함께 13억8천만 원의 예산을 마련해 생가를 복원한 강화군은 사람들이 쉽게 찾아올 수 있도록 폭 10m의 해안도로도 조성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남녀가 좌우의 문으로 따로 출입해야 했던 생가 인근의 교동 교회와 함께 마라쓴물 온천도 개발해 문화 역사와 휴식이 있는 관광지로 만들겠다는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[유천호 / 강화군수 : 여기 이 장소에는 과거에 마라쓴물이라는 유명한 온천수가 있습니다. 시각장애인분들이 생가를 찾을 때 무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.] <br /> <br />문화사업회측은 송암이 사용했던 점자 타자기 등의 유물 48점이 국가 등록문화재로 지정돼 있는 만큼 생가 주변에 한글 점자 전시관을 세우는 등 역사적 인물의 유업을 기릴 문화사업을 이어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기정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... (중략)<br /><br />YTN 이기정 (leekj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11104034730362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