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BTS부터 오징어게임까지'…NYT "한국, 문화적 거물됐다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아이돌 그룹 BTS부터 넷플릭스 드라마 '오징어 게임'까지 미국 뉴욕타임스가 한국이 '문화적 거물'이 됐다며 그 배경을 집중 조명했습니다.<br /><br />창작자들의 노력과 스트리밍 서비스의 발달 등이 복합 작용을 했다는 분석인데요.<br /><br />한상용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뉴욕타임스가 아이돌 그룹 BTS와 넷플릭스 드라마 '오징어 게임'을 대표 사례로 제시하며 우리나라의 문화 콘텐츠 산업을 집중 조명했습니다.<br /><br />지난 수십 년 간 자동차, 휴대전화로 평가받던 한국이 지금은 엔터테인먼트 사업으로 전 세계 시청자들을 사로잡고 있다는 겁니다.<br /><br />국내용으로 소비됐던 대부분의 한국 영화와 드라마도 지금은 K팝 스타인 블랙핑크, 오징어 게임, 아카데미 수상작 '기생충'의 인기와 맞물려 삼성 스마트폰처럼 어디서나 볼 수 있게 됐다고 소개했습니다.<br /><br />한국 문화 산업의 기반과 성공 스토리도 자세히 전했습니다.<br /><br />서방 문화의 소비자였던 한국이 이젠 연예계 거물이자 문화 수출국으로 전환됐다는 건데, 그 사례로 기생충이 아카데미에서 최우수 작품상을 받은 점, BTS가 세계 최대 아이돌 그룹 중 하나인 점, 넷플릭스에 한국 영화와 TV 프로그램이 80편 소개된 점 등을 꼽았습니다.<br /><br />물론 이러한 대성공이 하루아침에 이뤄진 게 아니라는 설명도 빼놓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드라마 '겨울 연가'와 그룹 '빅뱅', '소녀시대'가 아시아 시장을 장악했었고 가수 싸이의 히트곡 '강남 스타일'을 거론하며 한국적 콘텐츠 기반이 탄탄했다고 평가했습니다.<br /><br />제작자들이 할리우드와 다른 엔터테인먼트 중심지를 연구하며 한국만의 감성을 더한 방식을 적용하거나 다듬어왔다는 분석도 덧붙였습니다.<br /><br />이와 함께 넷플릭스, 유튜브와 같은 온라인 플랫폼의 확대, 독립 스튜디오 성장, 소득 불평등과 같은 사회적 문제를 다루려는 노력 등도 성공 요소로 꼽았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한상용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