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제주 해안가 갯녹음 '심각'...생태계·경관 훼손 / YTN

2021-11-06 7 Dailymotion

흔히 '바다 사막화' 현상으로 불리는 갯녹음이 제주도 모든 해안가에서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조사를 진행한 환경단체는 지자체 차원의 정밀조사와 대책이 시급하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KCTV 제주방송 김용원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성산 일출봉이 보이는 해안가입니다. <br /> <br />바닷물이 빠진 암반 곳곳이 하얗습니다. <br /> <br />해조류는 거의 보이지 않고 딱딱한 석회 껍질이 바위를 뒤덮었습니다. <br /> <br />해조류의 한 종류인 석회조류가 죽으면서 나타나는 갯녹음, 이른바 바다 사막화 현상입니다. <br /> <br />수온 상승과 환경오염 등으로 토종 해조류가 살아남지 못하고 석회조류 개체 수가 급증하면서 갯녹음이 확산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환경 단체가 전국에서 처음으로 제주 해안가 갯녹음 실태를 전수 조사했습니다. <br /> <br />조사 대상 조간대 200곳 가운데 모래 지역을 제외한 대부분의 곳에서 이렇게 바위가 하얗게 변하는 갯녹음이 관측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모래 지역 2곳을 제외한 198곳에서 갯녹음이 발견됐고 석회조류 밀집도를 나타내는 피복도가 70% 이상인 갯녹음 심각 단계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조사 대상 지역의 70%에서 토종 해조류는 자취를 감췄습니다. <br /> <br />[윤상훈 / 녹색연합 전문위원 : 어떻게 보면 해조류조차도 거의 멸종 단계, 조간대 해조류도 멸종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. 그러니까 갯녹음은 심각 단계, 해조류는 멸종 단계에 이르렀다고 저희가 이번에 확인했습니다.] <br /> <br />수심이 깊은 조하대는 전체 암반 면적의 30%에서 갯녹음이 나타난 반면, 수심이 얕은 조간대에서는 모든 해안가에서 갯녹음이 관측됐습니다. <br /> <br />환경 단체는 조간대 해안에 대한 지자체 차원의 정밀 조사와 원인 분석, 그리고 생태계 복원 대책을 촉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[윤상훈 / 녹색연합 전문위원 : 예를 들어 수온 상승이 원인이라면 수온 상승에 대비한 적응 대책을 마련해야 하고 육상 오염원 유입이 문제라고 하면 어떤 원인이 있는지 하나씩 차단하면서 찾고 대책을 마련해야 하는데 이에 대한 대책이 전혀 없다는 겁니다.] <br /> <br />생태계 보고로 알려진 제주 바다 조간대까지 갯녹음이 퍼지면서 종 다양성이 사라지고 천혜 해안 경관마저 훼손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KCTV 뉴스 김용원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. <br />[카카오톡] YTN을 검색해 채널 추가 [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11107082711827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