삼성·SK도 '반도체 자료' 미국에 제출…추가 요청 가능성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삼성전자와 SK 하이닉스를 비롯한 글로벌 반도체 생산업체들이 미국 정부에 반도체 공급망 관련 자료를 제출했습니다.<br /><br />대부분 민감한 정보는 빼고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는데, 미 상무부는 상황에 따라 자료를 추가로 요청할 가능성을 언급했습니다.<br /><br />워싱턴 이경희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미 상무부에 반도체 자료를 제출한 기업들 목록입니다.<br /><br />세계 1위 반도체 위탁생산업체인 대만 TSMC를 비롯한 다수의 기업이 자료를 냈습니다.<br /><br />민감한 정보는 최소화했고 일부 자료는 일반인 접근이 불가능한 비공개 형태로 제출했습니다.<br /><br />공개 수위를 놓고 막판까지 고심하던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도 마지막 날 자료를 제출했는데 기밀 정보는 제외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<br /><br />삼성전자는 고객정보는 물론 재고량 등 민감한 내용은 모두 빼고 제출했고 모든 자료가 일반에 공개되지 않도록 했습니다.<br /><br />SK하이닉스도 일부 자료는 기밀로 표시해 제출했고 재고량도 제품별이 아닌 산업별로 기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앞서 미국 정부는 글로벌 반도체 부족 사태 속에 지난 9월 반도체 업계에 일반적인 정보부터 민감한 정보에 이르기까지 26개 항목을 제시하며 제출을 요구했습니다.<br /><br /> "아시다시피 우리는 바이든 행정부 출범 첫날부터 반도체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왔습니다. 이젠 좀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때입니다. 상황은 나아지지 않고 있고, 어떤 면에서는 더 나빠지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당초 고객사 목록 등 민감한 내용을 품목별로 구체적으로 적시할 것을 요구했던 미국은 기업들이 반발하자 자동차용, 휴대전화용, 컴퓨터용과 같이 산업별로 제출하는 것으로 한발 물러섰습니다.<br /><br />기업들이 낼 수 없단 걸 알면서도 무리하게 요구한 건, 자동차 칩은 물론 가전, 통신 등으로까지 확산한 반도체 공급 병목 현상의 정확한 현황과 원인을 파악하려는 의도입니다.<br /><br />이 때문에 추가 자료를 요청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보입니다.<br /><br />지나 러몬도 상무장관은 로이터통신 인터뷰에서 "지금까지 모든 기업이 협조적"이라면서도 "제출 자료가 충분히 만족스럽지 않으면 추가 조처가 필요할지도 모른다"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이번 자료를 토대로 공급난 원인을 찾아내는 목표를 달성한다면 더 요구하지 않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추가 압박에 나설 수 있단 뜻으로 풀이됩니다.<br /><br />그러나 미국 정부가 병목현상 원인을 분석한다 해도 실효성 있는 조치에 나설 수 있을지엔 물음표가 붙습니다.<br /><br />사실 공급난은 코로나19 대유행과 맞물려 수요 감소를 예측하고 업체들이 물량을 적게 주문한 데서 기인한 것이어서 공급난이 가중된 품목의 생산을 늘리는 것이 해결책인데 해외는 물론 자국 민간 기업에도 이를 강제할 순 없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미국 상무부는 언제쯤 대책을 내놓을지에 관한 일정은 따로 제시하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연합뉴스TV 이경희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