요소수 사태에 중국서 '공급망 지렛대론'…한국 압박 카드 해석도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금의 요소수 품귀현상이 일어난 원인 중 하나가 중국의 수출 통제 때문인데요.<br /><br />중국이 이번 사태를 통해 글로벌 공급망 재편 경쟁에서 자국의 위상을 높이겠다는 의도가 깔려 있다는 분석입니다.<br /><br />박진형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증류수와 석탄을 원재료로 하는 요소를 섞어 만드는 요소수.<br /><br />매우 간단한 원료지만 현재 우리나라는 요소의 97%를 중국에서 수입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동안 아무 문제 없던 요소수 수급이, 최근 중국의 수출 통제로 차질을 빚으면서 전국적인 요소수 대란이 발생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 중국 내에서는 이번 사태를 단순히 석탄 부족에 따른 수출 규제를 넘어 세계 공급망 재편 경쟁에서 지렛대 확보로 보는 시각이 존재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인민일보 계열 매체인 런민즈쉰은 최근 한국의 요소수 위기나 유럽의 마그네슘 위기는 의도적인 게 아니라며 중국이 에너지 사용량과 오염물질 배출 절감을 추진하는 데 필요해서 수출을 통제한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이 매체는 요소나 마그네슘의 경우 생산 과정에서 환경비용이 크기 때문에 다른 나라에서 생산을 꺼린다고 설명했습니다.<br /><br />따라서 이번 공급 위기를 통해 글로벌 공급망에서 중국이 얼마나 중요한 위치에 있는지 분명히 인식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면서 서방국가가 중국에 계속 맞서는 자세를 취한다면 해를 입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.<br /><br />마치 러시아가 가스관을 통해 유럽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처럼 중국도 그런 위치에 있음을 은연중에 드러낸 것으로 해석됩니다.<br /><br />또 일각에선 이번 요소수 사태를 계기로 중국이 세계적 반도체 생산능력을 보유한 우리나라에 미·중 간 글로벌 공급망 경쟁 사이에서 어느 쪽을 선택해야 할지 압박 카드로 활용할 수 있다는 해석도 나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박진형입니다. (jin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