코로나 경제위기 속에서 반사이익을 독점하고 부를 편법 대물림한 대기업과 사주일가 30명이 세무조사를 받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들은 회삿돈으로 리무진 승용차를 몰고 미술품 재테크를 하는가 하면, 통행세로 이익을 제공한 경우도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오인석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국세청이 코로나 경제위기를 활용해 편법으로 부를 대물림한 대기업과 사주 일가를 정조준했습니다. <br /> <br />IT와 부동산·건설, 사치품 등 코로나 호황 업종을 영위하면서 고액 급여와 배당, 법인 명의 슈퍼카와 고급 주택 구입 등 반사이익을 누린 탈세 혐의자가 다수 포착됐습니다. <br /> <br />A사는 근무 사실이 없는 사주 일가에 고액 급여를 부당 지급했습니다. <br /> <br />사주는 회사 자금으로 구입한 미술품을 수십억 원에 사적으로 매매했습니다. <br /> <br />사주 아들은 회삿돈으로 사들인 고가의 리무진 승용차와 고급 리조트를 마음대로 이용했습니다. <br /> <br />약품 도매업을 하는 C사는 거래처 병원장에게 리베이트를 몰래 주기 위해 병원장 자녀 명의로 회사를 설립한 뒤 통행세 이익을 제공했습니다. <br /> <br />일감 몰아주기 등 자녀 법인을 부당 지원한 경영권 편법승계 혐의자 9명도 세무조사 대상에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사주 B 씨는 자녀들에게 미공개 내부정보로 상장 직전의 회사 주식을 취득하게 해 막대한 시세차익을 얻게 하고, 자녀 회사로부터 원재료를 고가에 매입하는 방법으로 부당 지원했습니다. <br /> <br />신종 금융상품을 이용한 변칙 자본거래 등 대기업 탈루행태를 모방한 중견기업 탈세 혐의자 9명도 포함됐습니다. <br /> <br />세무조사 대상 법인의 사주일가 총 재산은 9조 3천억 원으로, 최근 5년 새 재산이 30%, 사주 자녀의 재산은 40% 가까이 증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[김동일 / 국세청 조사국장 : 10대에 부모 찬스를 통해 법인 주식과 종잣돈을 증여받고, 20대에는 일감 몰아주기와 사업기회 제공으로 주식가치가 급증하였으며, 30대에는 고액 급여와 배당을 수령 하는 방법으로 수월하게 재산을 증식해 온 패턴이 확인되었습니다.] <br /> <br />편법적 부의 대물림 등 불공정 탈세와 관련해 최근 4년 동안 국세청이 추징한 세액은 9조 원이 넘습니다. <br /> <br />YTN 오인석입니다.<br /><br />YTN 오인석 (insukoh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11109183146993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