중국 외교부 "한국의 요소 수요 중시…적극 협상 중"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국내 요소수 품귀 사태와 관련해 중국 당국이 한국 정부와 적극적인 협상을 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요소를 비롯한 비료 품목 수출 통제 조치가 특정 국가를 겨냥한 것이 아니라고 한 싱하이밍 주한 중국대사의 발언도 재확인했습니다.<br /><br />베이징 임광빈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중국의 수출 제한 조치로 이미 계약을 하고도 국내에 들여오지 못하고 있는 요소는 약 1만 8천 톤입니다.<br /><br />요소 함량이 약 30%인 요소수 약 5만 8천 톤 정도를 생산할 수 있는데, 국내 차량들이 약 2개월간 사용할 수 있는 양입니다.<br /><br />외교부가 중국 측과 해당 물량 수입을 위해 협의에 나선 상황.<br /><br />중국 당국도 한국의 요소 수요를 중시하며 해결을 위해 한국과 적극적으로 협상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중국 외교부는 지난달 15일부터 시행한 비료 품목 수출 통제 조치와 관련해 특정 국가를 겨냥한 것이 아니라는 입장도 덧붙였습니다.<br /><br />관리를 개선하기 위한 조치로 국내 상황 때문이라는 점을 설명한 것입니다.<br /><br />일단 중국 정부가 외교적으로 해결할 여지를 열어뒀다는 점에서 후속 조치에 귀추가 주목됩니다.<br /><br />이런 가운데, 일부 중국 매체들은 한국의 요소수 품귀 사태를 전하며 중국 의존도가 높다는 사실을 부각했습니다.<br /><br />중국 국영 청두TV가 운영하는 한 인터넷 매체는 전략자원을 자급자족하거나 비축체제를 구축하지 않았다고 지적하면서, 한국의 요소수 위기는 자업자득으로 중국과 무슨 관계냐고 반문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일본의 수출 규제로 촉발된 반도체 위기를 거론하며 교훈을 제대로 받아들이지 않았다는 주장을 펴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베이징에서 연합뉴스TV 임광빈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