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한미, 경제안보 공조 속도...미·중 공급망 경쟁 '부담' / YTN

2021-11-12 2 Dailymotion

요소수와 반도체 등 공급망 교란을 계기로 한미 경제안보 공조에 속도가 붙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미국과 중국의 공급망 경쟁이 치열해질수록 중국에 대한 미국의 전방위 압박으로 우리 정부의 정책적 부담도 커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옵니다. <br /> <br />이교준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대니얼 크리튼브링크 미 국무부 동아시아·태평양 담당 차관보의 첫 방한은 반도체와 배터리 등 핵심 분야의 한미 공급망 협력에 초점이 맞춰졌습니다. <br /> <br />한미는 다음 주 외교 차관 협의에 이어 다음 달 고위급 경제협의회(SED)를 잇따라 엽니다. <br /> <br />미국 정부가 이처럼 속도를 내는 데에는 반도체 등 공급망 교란을 국가안보 위기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지나 러몬도 / 미국 상무장관 : 반도체의 국내 생산 부족이 단지 경제적 위협뿐만 아니라 국가 안보 위협으로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이에 따라 미국은 동맹국 중심의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박차를 가하면서 중국에 대한 전방위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바이든 대통령은 화웨이 등 중국 통신장비업체를 겨냥한 초당적인 '보안장비법' 법안에 서명했고, 미국 의회도 동맹국들을 중국의 강압적인 경제 보복으로부터 보호하겠다며 대응 법안을 추진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박원곤 /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 : 기본적으로 대중 강경 정책은 미 의회, 정치권에서도 공화, 민주 양당이 모두 동의하고 있는 사안이기 때문에 관련 법령들이 계속 준비되고 있고 통과됐고..] <br /> <br />반면 중국은 한국과 미국의 밀착을 견제하기 위해 중국 의존도가 높은 원자재 등 전략물자 수출을 제한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. <br /> <br />다음 주에 열릴 미국과 중국의 첫 정상회담을 계기로 공급망 경쟁이 완화되지 않을 경우 미중 틈바구니에 끼인 우리 정부로서는 전략적 부담이 점차 가중될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교준입니다.<br /><br />YTN 이교준 (kyojoon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11113005111092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