美, 전기차 구입 시 7,500달러 세액공제 적용 <br />美 의회 "배터리 원산지에 따라 혜택 요건 제한" <br />’中 배터리’ 혜택 제외…국내 업체, 기회 될 수도 <br />공급망 전환·생산지 변경으로 비용 증가할 듯 <br />국내 기업, 중국 눈치 속 원가 부담 가중<br /><br /> <br />미국이 중국산 배터리를 사용하거나, 자국 이외 지역에서 생산한 전기차에 대해 보조금 혜택을 줄이기로 하면서 국내 업체들의 손익 계산이 분주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 의존도가 높은 배터리 업체들은 새로운 공급망을 구축해야 하고, 완성차 업체도 미국 현지 생산을 늘려야 경쟁력을 가질 수 있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박홍구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금도 미국에서는 전기차를 사면 7천500달러, 우리 돈, 약 천만 원을 세액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 의회가 새롭게 추진하는 법안은 이 세액공제의 혜택을 배터리 원산지에 따라 제한하는 내용입니다. <br /> <br />배터리의 핵심 광물이 미국이나 미국과 FTA를 맺은 나라에서 생산되고, 배터리 주요 부품은 북미에서 만들어야 세제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따라서 법이 시행되면 중국산 배터리는 보조금 지급대상에서 제외되고 미국 완성차 업체들과 손잡은 우리 기업들은 기회를 잡을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리튬, 코발트, 니켈 등 배터리 원료를 중국에서 정제해 들여와 국내에서 양극재와 음극재 등 핵심부품을 생산해 수출하는 구조가 바뀌어야 합니다. <br /> <br />캐나다, 호주, 칠레 등 미국과 FTA를 맺은 국가들로 공급망을 전환하고 북미 규제에 맞춰 제품을 생산하려면 배터리 생산 비용이 증가할 수밖에 없습니다. <br /> <br />[김민지 / 산업연구원 전문연구원 : 중국이 낮은 환경적 규제가 있었기 때문에 원자재 부분의 가공에서 독점적 지위를 가지고 있어서 중국에서 조달하는 것들이 많았는데….] <br /> <br />현대차와 기아는 미국 현지에서 전기차를 생산해야 보조금 혜택을 받을 수 있는데, 아직 전기차 생산 시설이 없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기존 공장의 생산라인을 전환하고 2025년 완공될 전기차 공장까지 합하면 최대 140만 대까지 전기차를 생산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따라서 제품 경쟁력만 갖춘다면 전기차도 현재의 내연기관 시장 점유율 정도는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[이항구 / 한국자동차연구원 연구위원 : 현대차가 내연기관 시장에서 올 상반기에 10%가 넘는 점유율을 확보했기 때문에 거의 백만 대에 육박한 전기차 판매실적도 거둘... (중략)<br /><br />YTN 박홍구 (hkpark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20814222558446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