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신냉전' 미중 내일 첫 정상회의…상황관리-충돌 기로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이 영상으로 첫 정상회담을 갖습니다.<br /><br />이번 회담은 지난 1월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 처음 개최되는 것으로 양자 관계 및 국제 현안과 관련해 어떤 논의가 오갈지 관심이 모아집니다.<br /><br />신냉전을 방불케 하는 양국 관계가 개선될지 아니면 악화할지 기로에 서있습니다.<br /><br />김효섭 PD입니다.<br /><br />[리포터]<br /><br />미중 정상 간 첫 정상회담이지만 양측은 이번 회담의 의미를 애써 축소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용어에서도 정상회담이 아닌 화상회의로 지칭하며 기대치를 낮추려는 모습입니다.<br /><br />주요 쟁점 상당수가 '뜨거운 감자' 같아 어떤 주제가 논의될 지도 양측이 조심스러워하는 분위기입니다.<br /><br />일단 양국 간 상대적으로 다루기 쉬운 사안에서 결과물이 도출될 가능성이 큽니다.<br /><br />우선 트럼프 행정부 이후 이어지고 있는 미·중 간 고율 관세의 대치 상황이 완화할 가능성이 있습니다.<br /><br />또 북한 탄도미사일 개발 억제와 이란의 핵 합의 복귀 등 지정학적 안보 문제를 공동 대처해 나간다는 의향을 양국 정상이 표명할 여지도 있습니다.<br /><br />대만 안보 문제와 홍콩, 신장위구르 인권 문제 등 양측이 이전부터 신경전을 벌여왔던 주요 쟁점 상당수는 이견만 확인하는 자리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.<br /><br />특히 대만 문제는 최우선 의제이자 가장 큰 난제로 양측이 구체적인 합의 및 성과를 도출하기 어렵다는 분석이 잇따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한편, 미·중 간 무역이 단절되는 최악의 상황이 벌어질 경우 중국이 국내총생산 GDP의 6%까지 손해를 보는 반면 미국은 GDP의 7%가량을 얻게 될 것으로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예측했습니다.<br /><br />신냉전을 방불케 하는 양국 관계가 이번 만남을 계기로 개선 내지 상황관리 수준에서 안정될지 아니면 악화할지 기로에 서 있습니다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효섭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